최 회장은 19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트럼프 새 정부 출범을 하루 앞두고 국제질서 변화에 따른 한국경제를 진단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 주도의 관세 인상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AI의 빠른 기술적 변화 등의 불안요소가 삼각파도로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600억 달러 수준이었던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바이든 정부에서 1500억 달러로 증가한 점을 언급하며 향후 미국의 통상압력이 거세질 것으로 전망했다.
최 회장은 "너무 과도한 통상 압력을 받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근본적으로 보면 수출을 통해 돈을 벌겠다는 모델을 바꿔야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세계 무역질서가 세계무역기구(WTO) 다자주의 체제에서 1대 1 양자주의 체제로 바뀌고 있다"며 "수십 년간 활용했던 수출주도형 경제모델은 현재의 무역질서에서 과거처럼 작동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글로벌 경제연대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세계경제 룰(Rule)을 결정하는 나라는 미국, 중국, 유럽연합(EU)"이라며 "대한민국 혼자 국제 질서나 룰을 바꿀만한 힘은 부족하기 때문에 일본 등 같이 연대할 수 있는 파트너들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해외투자 확대와 소프트파워 강화를 통한 수출 대체모델 개발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우리는 경제 규모에 비해 해외에 전략적인 투자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엔비디아가 크게 성장했을 때 엔비디아 (NASDAQ:NVDA) 안에 대한민국의 포션(투자 비중)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고 투자 다각화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해외 인력 유입을 통한 내수시장 확대를 강조했다. 그는 "저출생 노령화로 내수를 더 늘리기는 쉽지 않은 만큼 해외 시민을 유입해 장기 거주하며 일하고 세금을 내고 소비를 늘리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인구의 약 10%인 500여 만 명의 해외인력 유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공지능(AI) 발전과 관련해서는 제조공정 효율화를 위한 '제조 AI'와 '한국형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CES 2025'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만난 것에 대해서는 "황 CEO가 제품의 속도를 상당히 강조하기 때문에 항상 만나면 그다음 제품은 언제까지 만들지에 대한 논의를 한다"며 "그동안 빨리 개발하라고 했는데 이번에는 우리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보다 조금 빨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