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 2개월만 통화정책 전환…경기부양에 무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3.5%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이는 2021년 8월 0.25%p 인상 이후 이어진 통화 긴축 기조를 마무리하고, 3년 2개월 만에 통화정책 전환(피벗)을 알리는 결정이다
특히 금리 인하 이력 자체로만 보면 2020년 5월 이후 4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물가 안정세가 뚜렷해진 가운데 내수 회복 지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통화정책의 무게추가 경기 부양 쪽으로 기울었다는 분석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8월 금통위까지 한은의 정책 우선 순위는 가계부채>경기>물가였으나, 이번 한국은행의 금리인하는 한국은행의 정책 우선 순위가 경기>물가>가계부채로 바뀌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의 이번 금리 인하에 대한 증권가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비둘기파적 성향이 강했다고 평가한 반면, 다른 일각에서는 여전히 매파적 요소가 있다고 분석했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동결 소수의견, 중립적인 한국판 점도표, 연속적 금리 인하에 대한 선긋기에도 10월 금통위는 다소 비둘기파적 이벤트였다"고 평가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이번 금리 인하 결정은 매파적 인하가 될 것이라는 견해가 많았지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기자간담회는 생각보다는 덜 매파적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이창용 총재는 통화정책방향 결정 후 기자간담회에서 "당분간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여력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어떤 계량 모델을 사용하더라도 중립 금리 상한보다 실제 금리가 높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추가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 총재는 "금융 안정을 상당히 고려하겠다는 점에서 매파적 인하로 해석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증권가에서는 한은이 올해 안으로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1월 금통위까지는 당사가 지적한 인하의 내수 경기 부양 효과가 과거 대비 축소됐는지 여부를 판단할 정도의 데이터가 나오지 않을 확률이 높은 만큼 연속 인하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판단"한다고 전망했다.
최제민 현대차증권 연구원도 "중립금리 추정의 불확실성, 금리 인하가 부동산과 가계대출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속적인 금리 인하 보다는 분기별 한 번 정도의 금리 인하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며 "2025년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한 번씩 금리 인하를 단행할 전망이 높다"고 설명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수석연구위원 역시 "금융불균형 리스크에 대한 한은의 경계감이 유지되고 있고, 금일 출회한 금리동결 소수의견과 1명으로 줄어든 금리인하 포워드 가이던스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11월에 한은이 연속적인 금리인하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증권가는 이번 금리 인하의 실물 경제 파급 효과가 과거보다 제한적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023년 1월 이후 고정금리 대출 비중이 급등해 올해 8월 주담대 잔액 기준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65% 수준으로 2019년 47.3%와 비교해 큰 폭으로 급증했다"며 "이는 곧 금리인하가 내수 진작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길고 가변적인 시차'가 과거보다 더 길어 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리인하로 인한 내수 부양 효과는 과거 대비 축소된 가운데 수출에 대한 눈높이는 연말~연초를 지나면서 하향 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재민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내수는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피로 누적과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로 인한 부동산 경기 및 관련 소비 회복세가 제한되면서 부진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