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미래 기자 = 2018년 중국은 말그대로 다사다난(多事多難)한 한 해였다. 중국 사회는 개혁개방 40주년과 미중 무역전쟁, 급격한 경기둔화, 백신 스캔들 등 다양한 사건과 사고가 겹치면서 바쁜 한해를 보냈다. 유력 인터넷 매체인 허쉰왕(和訊網)이 선정한 10대 핵심 키워드를 통해 2018년 한해 중국 사회의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 개혁개방 40주년
개혁개방 40주년 [사진=허쉰왕] |
1978년 3679억 위안에 불과했던 중국의 국내총생산(GDP)가 지난해 82조7000억 위안으로 증가했다. 1인당GDP 역시 385위안에서 5만9660위안(2017년)으로 증가해, 연평균 약 9.5% 성장했다. 외환보유액은 1978년 162억 달러에서 2017년 3조1399억 달러로, 193배 급증했다.
지난 40년간 중국의 사회소비재 매출규모는 229배, 요식업 매출은 792배 늘어났다. 1978년에서 2017년까지 중국의 국내 여행 소비규모는 45배, 여행 횟수는 10배 확대됐다.
1978년 개혁개방 당시 인구 100명당 0.38대에 그쳤던 전화기 보급률은 2017년 102.5대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1분당 전기 사용량은 48만 도(度, Kw/h)에서 1200만 도로, 약 25배 늘어났다.
뿐만 아니라 빈곤 인구수는 1978년 7억7039만 명에서 2017년 3046만 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7억 명이 넘는 인구가 탈(脫)빈곤에 성공한 것이다.
허쉰왕은 “가난한 농업국가였던 중국이 40년 만에 세계를 주도하는 주요 2개국(G2)으로 성장했다”며 “중국이 이룬 기적이다”고 평가했다. 베이징(北京) 국가박물관(國家博物館)에 마련된 ‘개혁개방 40주년 전시회’를 방문한 관람객은 “조국이 이룬 성과가 자랑스럽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들었다.
◆ 미중 무역갈등
미중 무역갈등 [사진=허쉰왕] |
초반에만 해도 G2인 양국이 조기에 타협점을 찾을 것이란 긍정론이 우세했다. 그러나 맞불 관세가 잇따르면서 양국의 마찰은 심화됐다. 지금까지 미국이 2500억달러, 중국이 1100억 달러 규모의 수입품에 각각 관세를 부과했다.
2018년 12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아르헨티나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무역협상을 재개하기로 했다. 우선 양국은 내년 1월 1일부터 3개월간 추가 보복관세 부과 없이 협상을 지속한다는데 합의해 시간을 벌었다.
하지만 같은 날 화대(對) 이란 제재를 위반했다는 혐의로 멍완저우(孟晩舟) 화웨이 CFO가 캐나다에서 체포되면서 미중간의 자존심 싸움이 지속될 것이란 의견이 더욱 우세하다. 비록 멍 CFO는 보석으로 풀려났으나, 영국 호주 등 미국 동맹국들은 화웨이 중싱(ZTE (HK:0763)) 등에 대한 견제를 지속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협상이 어떻게 끝나던 간에 미중 무역갈등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2019년 중국 GDP성장률 역시 6% 초반대가 될 것이란 의견이 우세하다. 2017년 성장률 6.9%보다 크게 둔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또한 미중 갈등 심화로 위안화 값이 하락하면서 외자유출이 확대되고 증시도 하락하면서 투자자들도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올해 위안화 가치는 연초 대비 8% 가량 절하했고, 상하이지수는 23% 넘게 빠졌다.
◆ 불황형 상품호황, 소비 다운그레이드 논란
소비 하락 or 상승 [사진=허쉰왕] |
올해 여름 대표 ‘서민 음식’ 컵라면 자차이(榨菜 중국 전통 장아찌) 맥주의 소비량이 급증한 반면, 대표 ‘고급 음료’ 스타벅스는 하락세를 보였다.
기업별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대표 라면 브랜드 캉스푸(康師傅)와 퉁이(統壹)의 컵라면 판매량은 동기 대비 각각 8.4% 8.0% 증가했다. 자차이 대표기업 푸링자차이(涪陵榨菜)의 판매량은 34.11% 증가했다.
3 4선 도시 소비자를 겨냥한 공동구매 플랫폼 핀둬둬(拼多多)가 높은 인기를 끌며, 창업 3년 만에 미국 나스닥에 상장하기도 했다.
반면 고가의 대명사 스타벅스의 영업실적은 크게 후퇴했다. 올해 3분기 스타벅스의 중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줄어 9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다.
가성비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자 다수의 전문가는 “경기 둔화가 가시화 되면서, 불황형 상품 소비가 늘어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소비절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가오펑(高峰) 상무부(商務部) 대변인은 “서민음식 매출상승을 소비 수준 하락과 연결 짓는 건 굉장히 편파적인 논조”라고 9월 6일 정례브리핑에서 밝혔다.
사회과학원(社會科學院) 소속 장하오(張昊) 재정경제전략연구원 원장 역시 “올해 상반기 1인당 평균 건강트레이닝 및 여행숙박 지출이 각각 39.3% 37.8% 증가했다”며 “소비구조의 변화일 뿐 경기 둔화로 인한 현상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 웨강아오베이
웨강아오베이 [사진=허쉰왕] |
지난 9월 23일 광선강고속철이 8년의 공사를 끝내고 정식 개통됐다. 4월 1일 홍콩 지역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한지 6개월 만이다. 고속철은 광둥성 광저우(廣州)남(南)역에서 홍콩 웨스트카우룬(西九龍)역까지 약 142km를 잇는다. 2시간 넘게 걸리던 홍콩-광저우 교통 시간은 이 철도 건설로 48분까지 단축됐다.
고속철 개통을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도 있다. 홍콩 고속철 역사 내에 홍콩과 중국 본토 출입국 심사대를 함께 설치하는 일지양검(一地兩檢) 협약 때문.
시민들은 “홍콩에 중국 본토법을 적용한 것”이라며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50년 간 홍콩에게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한 일국양제(一國兩制)를 위배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강주아오대교는 10월 23일 정식 개통됐다. 준비부터 공사까지 총 15년 걸렸다. 대교는 홍콩-마카오-주하이(珠海) 지역을 이으며 총 길이 55km에 달한다. 차를 타고 이동하면 홍콩에서 주하이까지 45분이면 주파한다. 기존 육로로는 4시간이 소요됐다.
◆ 불량 백신 스캔들
불량 백신 스캔들 [사진=허쉰왕] |
창성은 중국 2대 인체용 광견병 백신 제약사 중 하나로 지난해에도 품질에 이상이 있는 DPT(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 백신 25만여개를 판매해 시민들의 공분을 산 바 있다.
이미 48만 명이 넘는 어린이가 창성의 가짜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나 충격은 더욱 확산됐다.
발표 직후 창성의 주가는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100억위안(약 1조 원)에 가까운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7월 23일에는 주식거래가 중단됐다.
중국 당국은 사건 이후 해당 백신의 판매중지 및 제품 회수 조치를 지시했다. 리커창(李克強) 국무원 총리도 “국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적인 범죄 행위를 법에 따라 엄중하게 처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후 창성은 91억 위안(약 1조5000억 원)의 벌금을 징수 당하고, 회장을 비롯한 18명이 체포됐다. 또 감독 소홀을 이유로 SFDA 국장 등 관계자 50여 명이 해임 등 문책을 당했다.
창성의 백신 스캔들은 중국 의약품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공포를 확산 시켰다. 중국 제약업계 전반에 비상이 걸린 건 물론, 글로벌 의약 시장에서 백신 등 의약품 생산·수출을 주도하려던 중국의 야망에도 제동이 걸렸다.
leem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