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yTimes - 수출용 컨테이너. [사진=뉴스1]
[시티타임스=한국일반] 고물가에 따른 내수 부진으로 올해 상반기 저조한 경제 성장률을 나타냈지만, 기준금리 인하는 오는 10~11월에나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경기·물가 둔화 흐름이 동시에 확인되면서 기준금리 인하 압박이 거세지고는 있지만, 섣부른 금리 인하 땐 집값 상승 기대 심리가 자극돼 가계부채가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2.8%로, 지난 5월 전망한 2.9%를 0.1%포인트(p) 하회했다. 1분기 전기 대비 1.3%라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이후 2분기 마이너스(-) 0.2% 역성장하면서 기대치를 밑돈 셈이다.
올해 1분기 날씨 등 일시적 요인으로 양호했던 민간소비 증가율이 2분기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여파로 꺾이면서(전기 대비 0.7%→-0.2%) 상반기 경제 성장률이 전망치에 미치지 못했다.
부진한 경기, 특히 소비·투자 위축 등의 내수 냉각은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하는 요인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은이 이번 3분기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열리는 8월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작다고 본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먼저 기준금리 인하와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 시행 연기 등이 겹칠 경우 가계부채가 다시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단순한 성장률 부진뿐만 아니라 소비·투자 모멘텀이 기대보다 못하다는 측면에서 한은이 조기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필요성이 커졌지만,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가격 급등 현상이 한은의 조기 금리 인하를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는 9월로 예상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정책금리 인하 여파를 확인할 필요성도 있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10월 금리 인하에 착수한 이후 내년 1분기까지 0.75%p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한다"며 "기본 시나리오는 8~9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를 밑돌고, 9월 연준의 인하를 확인한 이후 인하에 나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이 역대 최대인 2%p에 달하는 가운데 선제적인 금리 인하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위험성은 무시할 수 없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한미 정책금리가 2%p나 역전된 지금 상황이 환율에 '절대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좋은 영향이 '절대' 아닌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며 "이런 때 굳이 먼저 통화정책을 완화할 이유는 없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