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민지현 기자 = 오는 30일 올해 마지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되고 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 0.25%p 인상된 후 현재 연 1.50%에서 1년째 유지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18.10.18 leehs@newspim.com 한은은 내외 금리 차 확대와 가계부채 증가세 등 금융 불균형에 따른 통화정책 완화 정도 축소를 언급하며 시장에 여러 차례 금리 인상 시그널을 제시했다. 지난 6월 공개한 10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금리 인상 시그널이 강화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를 제외하면 6명의 금통위원 중 4명이 매파적 성향을 보였다. 금리 인상 소수의견을 제시한 이일형, 고승범 위원 외에도 추가로 2명의 위원이 인상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언급했다. 통화정책 완화정도를 축소해야 한다거나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한은이 인상 시그널을 충분히 제시한 만큼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경우 금통위의 정책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미국과의 금리 차로 인한 시장 불안도 금리 인상의 대표적인 근거로 꼽힌다. 현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는 2.00~2.25%로 우리나라의 1.50%와 역전 폭은 75bp(1bp=0.01%포인트)다. 다음달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이 예정된 만큼 한은이 올해 마지막 금통위에서 금리를 동결할 경우 금리 격차는 100bp까지 벌어진다. 아울러 가계부채 누증 문제도 금리 인상에 무게를 더한다. 우리나라 3분기 말 가계부채 규모는 1514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6.7% 증가했다. 반면 가계 소득 증가율은 4.6%에 그쳤다. 저금리 기조가 계속될 경우 가계 부채 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 신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29일 "가계부채로 대표되는 금융부채 확대가 저금리에 의해 누적돼 있다는 점에 근거해 금리 인상을 전망한다"며 "정부의 부동산 가격 안정화 정책과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에 이은 거시 건전성 정책 차원의 금리 정상화"라고 말했다. 지난 10월 소비자물가는 2.0% 상승해 1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한은의 물가 목표치 2%에 도달한 점도 금리 인상 근거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6일부터 21일까지 채권 전문가 100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79%가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가 현 1.50%에서 1.75%로 0.25%p 인상될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 10월 금통위 때는 33%의 참가자가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동결 소수 의견이 제시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조동철 위원과 신인석 위원이 거론되고 있다. jihyeon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