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일제히 폭락했다.
13일(현지시각)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76.37포인트(3.94%) 하락한 3만1104.97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77.72포인트(4.32%) 내린 3932.6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632.84포인트(5.16%) 하락한 1만1633.57에 마감했다.
3대 지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6월11일 이후 일일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한 번에 75bp(1bp=0.01%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8월 CPI는 전년동기대비 8.3% 상승하며 전월 발표치(8.5%) 보다 둔화됐지만 시장 예상치(8.1%)를 상회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CPI 상승률은 6.3%로 전월 발표치(5.9%)와 시장 예상치(6.1%)를 모두 웃돌았다.
CPI 발표 이후 연준이 오는 20∼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3연속 75bp의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더욱 높아졌다. 시장 일각에서는 100bp 금리인상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다.
CME Fedwatch에 따르면 9월 FOMC에서 연준의 75bp 인상 확률은 100%로 나타났다. 100bp 인상 확률도 32%를 기록했다. 11월 FOMC에서도 75bp 인상 확률이 68%를 기록했다.
달러화는 강세를 나타냈고 국채 금리도 단기 금리를 중심으로 급등했다. 대형 기술주들은 국채 금리 급등 여파로 매물이 출회되며 일제히 약세를 나타냈다.
아마존(NASDAQ:AMZN)은 7.06% 급락했고 애플 (NASDAQ:AAPL)(5.87%) 마이크로소프트 (NASDAQ:MSFT)(5.50%) 알파벳(NASDAQ:GOOGL)(5.86%) 등도 하락했다.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플랫폼스는 장중 152.67달러까지 떨어지며 52주 최저가를 찍은 뒤 9.37% 하락한 153.13달러에 마감했다.
엔비디아(NASDAQ:NVDA)도 장중 130.99달러까지 내려가며 52주 최저가를 기록한 뒤 9.47% 하락한 131.31달러에 장을 마쳤다. AMD (NASDAQ:AMD)(-8.99%)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NASDAQ:MU)(-7.4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NASDAQ:AMAT)(-6.14%) 등 반도체 관련주가 약세를 나타내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6.18% 급락했다.
반면 세계 1위 리튬 생산업체 앨버말은 전기차 소재 리튬 가격 폭등에 장중 307.12달러까지 치솟으며 52주 최고가를 경신한 뒤 0.38% 상승한 298.09달러에 마감했다. 트위터는 주주들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NASDAQ:TSLA) 최고경영자(CEO)에 회사를 매각하는 안건을 승인했다는 소식에 0.80% 상승 마감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는 광범위하고 끈질긴 물가 상승 압력을 확인한 소비자 물가지수 여파로 하락 출발했다"며 "이를 토대로 9월 FOMC에서 100bp 금리인상 가능성이 부각되자 달러 강세, 국채 금리 급등하며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서 연구원은 "더불어 임대료와 의료 서비스 부문 상승으로 소비자들의 고정지출 확대에 따른 소비 둔화 가능성이 부각되는 등 경기 침체 이슈도 유입되며 반등 없이 하락이 지속됐으며 미·중 갈등 확대도 낙폭 확대 요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