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업계에 따르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각종 경제 지표가 요동치고 있다. 환율은 계엄 선포 직후 1446.5원까지 올라 금융위기인 2009년 3월15일 이후 15년8개월여 만에 1446원을 넘어섰고 계엄이 해제된 이후 1410원대로 떨어졌다가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다시 1440원대를 위협하는 등 불안정한 흐름을 보였다.
코스피 역시 2500선이 붕괴되며 금융시장에 혼란을 가져왔다. 정국 불안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자금을 회수한 영향이다. 실제 비상계엄 사태 직후인 4일부터 6일까지 사흘간 외국인 투자자들은 총 1조85억원을 매도했다. 지난 4일 4071억원, 5일 3173억원, 6일 2841억원이 각각 순매도됐다.
하지만 탄핵안 가결로 대통령의 업무가 정지되면서 다시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유입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진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헌법재판소에서 판결이 나기 전에도 탄핵안 가결 이후 국민 여론이 분명해지면 주식시장은 정치 불확실성이 줄어들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며 "조기 대선 시행은 신정부 정책 기대감으로 연결되어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영국 금융 컨설팅회사 TS롬바드의 로리 그린 연구원도 윤 대통령의 탄핵 후 더불어민주당이 조기 대권에서 승리하면 한국에 새로운 경제 성장의 물결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당시에도 코스피 지수의 반응은 국정개입 의혹 공론화부터 탄핵안 발의 기간동안 4.1%하락했으나 탄핵안 통과부터 대선 이후 연말까지 25.5% 급격히 상승한 바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지나친 긍정은 경계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아직 헌재의 판결이 확정된 게 아닌 데다 윤 대통령이 향후 비상계엄 선포의 정당성을 따져보겠다는 의지를 피력했기 때문이다.
헌재는 접수일로부터 180일 이내에 심판을 마쳐야 한다. 앞서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심판은 64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은 92일이 걸린 바 있다.
현재 대외 금융시장 환경이 미국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축소, 대중 반도체 규제 등 정책 리스크가 큰 상황인 점도 변수다.
이 관계자는 "주식시장의 단기 하락은 진정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지만 트럼프 신정부 정책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처럼 외국인 수급을 강하게 유입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