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들어 오름세였던 2차전지주들이 급격히 ‘방전’되고 있다.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 품목이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2차전지산업의 성장성 훼손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상반기 2차전지주의 상승세를 가로막았던 에너지저장장치(ESS) 리스크(위험)로부터 막 벗어나 ‘재충전’에 들어간 2차전지주들이 또 다른 대외 리스크를 만나 동력을 잃는 모양새다. Getty Images Bank
상승세 꺾인 2차전지株
2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SDI는 3000원(1.29%) 내린 22만9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LG화학은 전날과 같은 33만30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일진머티리얼즈(-3.43%), 포스코케미칼(-4.96%), 솔브레인(-8.18%), 엘앤에프(-6.79%), 신흥에스이씨(-6.69%)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은 줄줄이 떨어졌다.
2차전지주들은 상반기 내내 원인불명의 ESS 화재 리스크에 짓눌렸다. 지난 6월 11일 정부가 ESS 화재는 배터리 제품 자체의 결함이 아니라는 취지의 결과를 발표하자 리스크 해소 국면을 맞았다. 5월 이후로 이달 19일까지 삼성SDI(10.75%), LG화학(8.55%) 등 2차전지 간판 종목들은 물론 코스닥 2차전지 소재주까지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며 고속충전 중이었다.
하지만 일본발(發) 대외 리스크가 2차전지의 ‘코드’를 뽑은 모양새다. 7월 중순 들어 “한국의 신성장산업인 2차전지를 상대로 일본이 관련 소재 수출규제를 확대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특정 원료나 설비 등 일본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는 이유에서다. 전해액 원료가 되는 리튬염과 전해액 첨가제, 고품질 바인더, 동박 제조 설비 등이 대표적인 일본 수입 소재·설비로 꼽힌다.
특히 코스닥 상장사들의 하락폭이 컸다. LG화학 등 대기업들은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등 핵심 소재의 공급처를 다변화해왔지만 코스닥 중소기업들은 그럴 여력이 없었다는 분석이다.
“실적으로 불확실성 떨쳐내야”
김현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반도체산업에 비해 2차전지는 주요 소재의 국산화 비율이 높은 편”이라며 “수출규제가 본격화하더라도 큰 타격은 없을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테슬라가 올 2분기에도 어닝 쇼크를 기록해 2차전지산업이 전체적으로 움츠러든 것까지 겹치며 하락폭이 컸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실적 개선을 통해 불확실성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SDI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전년 동기 대비 11.8% 증가한 8000억원이다. 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SDI는 내년부터 미국이나 중국 등 ESS 해외시장 개척을 본격화할 것”이라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성도 명확한 만큼 중장기적 성장추세를 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화학사업이 본업인 LG화학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전년 동기 대비 31.07% 떨어진 1조5482억원이다. 박연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상반기는 유럽 공장 수율 문제로 적자가 확대됐지만 하반기에는 시장 기대를 웃도는 실적을 낼 전망”이라며 “실적 개선에 따라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재평가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리튬 공급 과잉…가격 급락, 전기차 호황 기대 너무 컸나
日 2차 보복 초읽기…배터리 3社 '초긴장'
청와대 전임 정책 3인방이 구미 LG화학 협약식 찾은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