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심사에서 중요 요소로 작용하는 개인신용평가 체계가 ‘등급제’에서 ‘점수제’로 완전히 바뀐다. 단 몇 점 차이로 신용등급이 갈려 대출 조건까지 달라지는 이른바 ‘문턱 효과’가 사라질 전망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5일 ‘개인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을 꾸렸다. 내년 중 은행, 보험사, 금융투자회사, 여신전문회사 등 모든 금융회사의 신용평가를 점수제로 전환한다는 목표로 제도 정비에 나섰다.
664점과 665점은 ‘하늘과 땅 차이’?
기존 등급제는 개인별 신용점수를 산정한 뒤 1~10등급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대다수 금융회사는 신용정보회사(CB사)가 정한 등급을 그대로 넘겨받아 대출 심사에 활용하고 있다. 은행들은 통상 6등급까지만 돈을 빌려준다.
하지만 일정 구간에 따라 기계적으로 등급을 매기다 보니 일부 소비자가 불이익을 본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예를 들어 신용점수가 664점인 사람은 7등급(600~664점·NICE 기준)으로 분류돼 1금융권 대출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실제 신용 상태는 6등급 최하위인 사람과 큰 차이가 없는데도 ‘간발의 차’로 탈락한 셈이다. 이런 사람들은 대부업체나 비제도권 금융회사로 내몰릴 가능성이 컸다.
점수제에서는 CB사가 개인 신용을 1~1000점 사이의 점수로만 평가해야 한다. 금융회사는 제공받은 점수를 토대로 자체적인 신용위험 평가를 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등급 간 문턱이 사라지고 신용평가가 한층 정교해질 것”이라며 “7등급 상위에 몰려 있는 약 240만 명이 제도권 금융회사를 이용함으로써 연 1%포인트 안팎의 금리 인하 효과도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올초부터 등급제의 점수제 전환을 추진해왔다. 자체 신용평가 역량이 높다고 판단되는 5개 은행(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에 지난 1월 신용점수제를 시범 도입했다. 내년에는 모든 금융회사에서 신용점수만으로 대출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점수제 전환과 관련한 법령과 제도를 정비하고, 신용점수 활용 기준을 구체화하는 등 준비 작업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신용점수 올려주는 핀테크 앱 인기
핀테크(금융기술) 벤처기업들은 금융 앱(응용프로그램)에 신용점수를 올려주는 기능을 담아 인기몰이하고 있다. 토스와 뱅크샐러드가 대표적이다. 신용점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국민연금 납부내역, 건강보험료 납부내역, 국세청 소득증명원 등의 서류를 CB사로 보내주는 서비스다. 각종 증빙서류를 내면 신용점수에 반영해주는 제도는 예전부터 있었지만 절차가 복잡해 모르는 사람이 많았다.
토스나 뱅크샐러드 앱에서는 터치 몇 번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핀테크 업체들은 이용자에게서 공인인증서 활용을 위탁받아 각종 서류를 대신 제출해준다. CB사가 이를 점수에 반영할 때까진 3~10일가량 걸린다. 지금까지 토스에서 30만 명, 뱅크샐러드에서 50만 명 이상이 이용했고 평균 7~8점씩 신용점수가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들은 신용점수 외에 직장, 소득, 연체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보기 때문에 한 자릿수 점수 상승에 ‘너무 큰’ 기대를 해선 안 된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소비자들이 자신의 점수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계기를 마련한 점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부동산PF P2P 대출' 테라펀딩, 220억 투자 유치
비씨카드로 추석선물 사면 최대 '반값'
추석 이후 수도권 정비구역서 3만6770가구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