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정부가 2022년까지 산업위기지역에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을 확산시켜 2만6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를 했다.
이날 자리에는 문 대통령과 성윤모 산업부 장관, 당·청 인사 및 중소·중견기업 대표 등 130여명이 참석했다. 성윤모 장관의 '제조업 활력 회복 및 혁실전략' 보고와 참석자들의 토론 순으로, 약 1시간 40분간 진행됐다.
산업부는 전북, 부산·경남,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산업 및 고용이 위기에 처한 지역을 대상으로 14가지의 활력 회복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성윤모 장관은 "광주형 일자리 모델과 같은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이 확산되도록 내년 1분기까지 확산모델, 인센티브 패키지, 참여주체들의 역할을 도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우선 전북 지역에서는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과 한국지엠(GM)공장 폐쇄로 인한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상용차 기반, 재생에너지 사업과 연계한 신산업 창출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조선·자동차 등 전방산업이 부진한 부산·경남 지역은 지역 중소 자동차 업계의 일감창출 방안을 마련하고 노후된 산단도 미래형 산단으로 혁신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전방산업의 부진이 지역내 주력업종인 기계산업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로 했다.
광주·전남 지역은 지역산업 부진과 전자 등 주력산업의 해외이전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어, 한전의 에너지밸리(Energy Valley)와 친환경 가전 수요를 이용해 대체 신산업을 육성한다. 에너지밸리는 360개 에너지 기업이 집적된 전력 클러스터로, 산업부는 이를 통해 첨단전력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자율차, 홈케어가전 등 미래산업 인프라를 집적하고 섬유·철강 등 신수요를 창출해 주력업종인 전자·섬유 및 자동차부품·철강산업의 부진을 극복하기로 했다.
아울러 산업부는 제조업이 밀집된 산단을 중심으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하고 10개 산단을 데이터가 공유되고 미래형 인프라를 갖춘 스마트 산단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생산 시스템의 혁신을 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스마트공장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한다.
정승일 차관은 "현재 프로젝트별로 지자체와 기업, 관계부처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대표적으로 군산지역에 중고차 수출 복합단지를 건설하는 사업의 경우 관련 논의를 거쳐 내년 초 지자체와 협의해 사업자를 공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 자동차·조선부터 섬유·가전까지…맞춤형 고부가가치화 전략 추진
산업부는 또 업종별 혁신 전략을 마련해 주요 산업군 별로 맞춤형 고부가가치화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자립도와 대외경쟁력이 낮은 소재·부품·장비 R&D에는 매년 1조원 규모로 대대적 투자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핵심 소재·부품과 장비의 대외 경쟁력을 높여 자립을 넘어 글로벌화를 추진한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섬유·가전업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전통산업을 첨단 스마트산업으로 탈바꿈해 나가기로 했다. 동대문을 중심으로 주문부터 생산까지 24시간 내 완결되는 디지털 패션 생태계를 구축하고, 중소·중견 가전업체를 위한 빅데이터 센터도 구축한다.
자동차·조선업은 당면한 위기 극복을 위해 자동차 중소·중견 협력사에 신규자금 및 만기연장 등에 3조5000억원 이상을 지원한다. 또한 친환경차 생산비중을 현재 1.5%에서 2022년까지 10%로 높여 친환경·스마트화로 산업생태계 개편을 가속화환다.
특히 수소차와 연료전지의 경우, 미래 신산업 구축의 일환으로 2022년까지 수소버스를 2천대 보급하고 수소차 연료전지 스택 생산설비는 현재 3천기에서 4만기까지 늘리기로 했다. 관련하여 산업부는 내년 1월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해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을 담은 제조업 혁신전략은 내년에 부문별로 마련될 세부 실행계획들과 함께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onjunge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