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6일 오전 09시3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지난달 글로벌 자금은 미중 무역 합의 기대감과 미 중간선거 불확실성 해소 등 호재들이 부각되면서 상장지수펀드(ETF) 등으로 대규모 투자 자금이 유입됐다. 다만 시장 전망을 둘러싼 투자자들의 경계감은 여전한 모습이었다.
팩트셋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 관련 ETF로 496억달러의 신규 자금이 유입돼 1월 이후 가장 강력한 월간 유입세를 기록했다. 총 4761억달러가 몰리며 역대 최대 연간 유입을 기록했던 지난해 기록을 넘기는 어렵겠지만, 이대로 간다면 2016년 기록했던 당시 역대 최대 연간 유입액 2875억달러는 넘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초 이후 현재까지 순 유입액은 2647억달러로 집계됐다.
펀드평가사인 리퍼(Lipper)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까지 투자자들 사이에 위험자산 기피 심리가 뚜렷이 나타났던 북미 주식 시장은 여전히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았지만, 자금 유출 속도는 눈에 띄게 더뎌졌다.
또 510억달러 넘게 자금이 빠져나갔던 선진국 증시는 11월에는 35억달러가 순 유입 되며 반등에 성공했고, 신흥국도 10월 16억달러 순 유출 기록에서 11월에는 63억달러로 순유입 전환됐다.
채권 시장에서는 북미로 자금이 다시 유입되기 시작했으며, 선진국 채권 시장 자금 유출 규모도 10월에 비해서는 축소됐다. 아시아와 신흥 채권 시장 유출 규모가 직전월과 비슷한 규모를 기록한 가운데, 서유럽 채권 시장은 유출액이 늘었다.
지난달 ETF 월간 유입 흐름을 보면 미국으로의 유입이 두드러졌다. 글로벌 증시 ETF로 111억달러가 유입된 반면, 미국 주식 ETF로는 223억 달러가, 미국 채권 ETF로는 138억달러가 각각 유입됐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 의장의 통화 완화 선호적인 발언과 미중 정상 회의에서 90일간의 무역 전쟁 휴전 선언이 투자자들의 위험 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하면서 뉴욕 증시 S&P500지수는 1.8%가 올랐고,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3.16%에서 3% 수준으로 내려왔다.
다만 미국의 채권 시장과 관련해서는 투자은행(IB)들의 경고음이 이어졌다.
JP모간은 미국 지방정부의 기존 부채, 퇴직 연금, 헬스케어에 따른 재정부담이 실제 알려진 것보다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지방정부채 투자자들이 이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또 블리클리 투자자문 그룹은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 등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자극할 소지가 있다면서, 미 국채금리 3% 상회 지속 가능성을 제기했다.
미국 외 선진국의 경우 기대보다는 우려의 시선이 더 두드러졌다.
알리안츠는 유럽 성장모멘텀이 약화되고 선진국 간 차별화가 확대되는 가운데 유럽중앙은행(ECB)의 올해 말 양적완화(QE) 종료 선언으로 투자 위험이 커졌다고 지적했으며, 피델리티는 유럽연합(EU)의 이탈리아 예산안 승인 거부와 독일의 성장률 둔화 등으로 주가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일본의 경우 일본은행(BOJ)의 금융완화정책 수정 경계감이 커졌다는 지적과, 미국 증시 조정과 유가 하락 여파로 일본 증시 하락 압력이 커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다만 모간스탠리는 낮은 밸류에이션으로 내년 주가 전망은 일본이 미국보다 긍정적이라고 평가했고, 제프리스는 금융완화정책 지속과 엔화 약세 등에 힘입어 내년 일본의 기업실적 개선과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 신흥국이 달라졌어요
대내외 불안 요인으로 투자심리가 크게 훼손됐던 10월과 달리 지난달 신흥국은 IB들이 쏟아내는 긍정적인 전망 덕분에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데 성공했다.
투자자들의 리스크 선호 심리가 고개를 들면서 지난달 이머징 마켓 ETF 전체로 26억3000만달러가 유입되며 10개월래 최대 유입액을 기록한 가운데, 특히 멕시코와 브라질 관련 ETF에 막대한 투자 자금이 몰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에서 상장된 최대 멕시코 ETF인 '아이쉐어즈 MSCI 멕시코 펀드(EWW)'에 11월 한 달 1억8300만달러가 넘는 자금이 유입됐다. 이는 2016년 12월 이후 최대 유입 규모로, 직전월인 10월만 하더라도 EWW 운용 자금은 7억2000만달러를 밑돌며 9년여래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이와는 정반대의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최대 브라질 ETF인 '아이쉐어즈 MSCI 브라질 펀드(EWZ)'로는 11월 한 달 5억6100만달러가 몰려 작년 2월 이후 최대 월간 유입액을 기록했다.
모간스탠리는 내년에는 '경제 성장 촉진을 위한 중국 정부의 (재정) 완화 정책',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중지(2019년 중반)로 인한 달러화 약세', '미중 무역전쟁 중단'이라는 "세 가지 추세 반전"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 신흥국 증시가 이러한 시나리오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프랭클린템플턴 인베스트먼츠의 체탄 제갈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신흥국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수준"에 근접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보면 지금이 매수 기회라고 주장했고, 노무라애셋매니지먼트의 사가키 시게키 수석 전략가는 연준의 금리 인상 중단은 투자자들이 신흥국 증시를 되돌아보도록 할 것이라며 이는 신흥국 증시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JP모간체이스도 보고서에서 내년 말 MSCI 신흥시장지수의 예상치를 1100포인트로 제시, 현 수준보다 13% 더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밸류에이션이 낮은 러시아와 기업 이익이 탄력적인 모습을 보이는 인도네시아, 정책 호재가 전망되는 브라질과 칠레를 주목할 것을 권고했다.
◆ 여전한 경계감 속 캐쉬 부상
지난 10월 세계증시가 2012년 이후 최악의 한 달을 기록한 후 11월 들어 다소 반등했으나,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이탈리아 재정 우려,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 등 정치·경제 요인은 투자 불안감을 계속해서 자극하고 있다.
투자 불안 심리 덕분에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는 현금 인기는 대폭 확대됐는데, 로이터 통신이 지난 11월 15~29일 47명의 자산매니저들을 대상으로 월간 자산분배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글로벌 펀드매니저들의 현금 비중은 5.6%로 2017년 3월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현금 비중은 올해 초에 비해 2%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해당 펀드매니저들은 11월 들어 주식 보유 비중을 47.7%로 10월의 47.9%에서 줄였다. 이는 7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채권 비중은 39.3%로 전월비 소폭 늘었다. 각국별 채권 비중은 지정학적 패턴을 따라, 미국과 유로존 채권 비중은 감소한 반면 영국과 일본 채권 비중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메릴린치에 따르면 펀드 매니저들의 현금 비중은 11월 기준 4.7%로 파악됐는데, 이는 지난 9월과 10월 5.1%에서 완만하게 떨어진 수치로, 향후 상승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BofA의 진단이다. 또 뉴욕증시의 10년 강세장이 종료를 맞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만큼 월가의 펀드 매니저들은 현금 자산을 앞으로 더욱 늘리겠다는 입장이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