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28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올 8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전달보다 0.1포인트 내린 99.2를 기록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다. 한국은행·통계청 제조업 재고순환지표, 장단기 금리차, 수출입물가비율,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자본재 재고지수, 코스피 등 6개 지수를 활용해 산출한다. 기준치(100) 이상이면 경기 확장, 이하면 경기 하강으로 해석한다.
선행지수는 작년 3월 101.0을 정점으로 17개월 연속 하락했다. 외환위기 시절(1999년 9월~2001년 4월, 20개월) 이후 가장 긴 내림세다. 올 4월부터는 선행지수가 아예 100을 밑돌면서 경기에 적신호가 켜졌다.
다른 지표도 비슷하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 분기 대비 0.6%에 그쳤다. 2분기 0.6%와 같은 수치로, 부진한 흐름이 이어졌다.
국내외 기관들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하향 조정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종전 3.0%에서 2.8%로, OECD는 3.0%에서 2.7%로 수정했다. 정부 역시 비관적이다. ‘최근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선 9개월 연속 사용해온 ‘회복세’란 표현을 삭제하고 ‘고용부진’이라고 진단했다.
장기간 일을 구하지 못한 실업자는 지난 19년 새 최대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구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장기실업자는 올 1~9월 월평균 15만2000명이었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 명(6.9%) 늘었다. 지금과 같은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1999년 6월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구직 단념자도 급증세다. 올 1~9월 구직 단념자는 월평균 51만6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만1000명(6.5%) 늘었다. 역시 현재와 같은 기준으로 집계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최대다. 올 1~9월 실업급여 지급액은 5조377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4조929억원)보다 23.1% 급증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OECD 국가내 지역간 경제격차 축소되는데…거꾸로 가는 한국
한국 경제 분야 정부경쟁력 OECD 14위
"한국 경제분야 경쟁력 OECD 14위"…지난해보다 5단계↓
500명에 1명, 환자 당 의사 비율 OECD 꼴찌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