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 푸른 산과 맑은 공기, 말 그대로 자연이 그리워 마음먹고 떠난 귀농·귀촌이지만, 만족도는 60%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철저한 사전준비와 교육, 그리고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 불필요한 '텃새'도 이들의 정착을 힘들게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는 귀농·귀촌 2507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의 유형과 이유, 소득, 주거형태, 경영여건, 지역융화 등을 포함하는 실태조사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법에 근거해 지난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했으며,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을 통해 최근 5년간(2013~2017년) 귀농·귀촌한 2507 가구(귀농 1257가구, 귀촌 1250)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해 조사했다.
[자료=농림축산식품부] |
조사결과 귀농·귀촌 유형은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U턴형, 귀농 53.0%, 귀촌 37.4%)하는 경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J턴형, 귀농 19.2%, 귀촌 18.5%)하는 비중까지 포함하는 경우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는 사람이 다시 농촌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이유는 자연환경이 좋아서(26.1%),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을 보고(17.9%), 도시생활의 회의(14.4%), 가족 등과 가까운 곳에서 살기 위해(10.4%), 본인․가족의 건강(10.4%), 실직이나 사업 실패(5.6%)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40세 미만 청년층은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29.0%), 가업을 승계하기 위해(18.6%) 도시생활의 회의(16.7%), 자연환경이 좋아서(10.2%)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8.0%),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16.6%), 도시생활의 회의(14.1%),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0.8%) 순으로 나타났다.
[자료=농림축산식품부] |
청년층은 가족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22.5%), 정서적인 여유(14.7%), 자연환경이 좋아서(13.7%), 도시생활 회의(13.3%)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5.8%),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4.9%), 도시생활회의(13.9%), 정서적인 여유(13.1%)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의 만족도는 귀농이 60.5%, 귀촌이 63.8%로 집계되어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귀농 32.5%와 귀촌 33.0%는 보통, 불만족은 각각 7.0%와 3.2%로 나타났다. 불만족으로 응답한 가구의 주요 이유로는 귀농은 자금부족(30.0%), 영농기술․경험부족(23.7%) 순으로 높았고,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3.0%), 자금부족(29.1%) 순으로 어려움을 호소했다.
또한 귀농 가구가 귀농 준비에 평균적으로 27.5개월의 준비 기간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어 사전에 많은 준비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대상 귀촌 가구의 19.7%가 귀촌이후 5년 이내에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19.2%는 농업경영체에 등록, 0.5%는 등록 없이 영농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귀촌 가구의 농업경영체 등록 시기는 귀촌 다음연도인 2년차에 평균 78.3%로 가장 많았고, 3년차 10.8%, 4년차 7.0%, 5년차에 1.1%로 나타났다.
[자료=농림축산식품부] |
귀농 가구의 주재배작목 선택 이유로는 재배의 용이성(43.1%), 높은 소득(19.7), 주변인 권유(14.6), 지역 특화작목(13.3) 순으로 나타났으며, 재배면적 비중은 과수(23.2%), 노지채소(19.2), 시설채소(14.9), 논벼(14.3), 특작·약용(9.8), 서류(6.1), 두류(4.4), 축산(2.5), 맥류(1.7), 화훼(1.7) 순으로 조사됐다.
월평균 생활비는 귀농가구 196만원, 귀촌가구 213만원이며 주로 식비, 주거·광열·수도·전기세, 교육비 순으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지역 선택 이유로는 부모·친척이 살고 있는 연고지(귀농 43.8%, 귀촌 32.8%)가 가장 높고, 이전에 살던 곳 근처(귀농 17.8%, 귀촌 11.2%), 자연환경 우수(귀농 8.4%, 귀촌 14.6%) 등으로 조사됐다.
거주 주택으로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귀농 81.7%, 귀촌 59.6%)이 가장 많고, 아파트·연립주택(귀농 14.8%, 귀촌 37.6%) 순으로 조사됐다. 초기 주택 점유는 자가(귀농 73.4%, 귀촌 57.6%), 전월세(귀농 17.1%, 귀촌 37.4%), 지원 정책 활용(귀농 5.9%, 귀촌 2.2%) 순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귀농가구의 66.7%, 귀촌가구의 27.8%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쉽 등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5년차가 된 2012년 귀농자를 분석한 결과 오프라인 귀농 교육 경험자의 귀농 첫 해와 5년차 농업소득 증가폭(1523만원)이 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귀농인(685만원)보다 훨씬 높게 조사되어, 귀농 교육이 농업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들은 인간적인 교류, 영농기술·장비 도움, 마을일·모임 참여 활동 측면에서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다(귀농 76.9%, 귀촌 62.5%)고 응답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귀농 2.0%, 귀촌 1.7%로 나타났으며, 응답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으로는 선입견과 텃세, 집이나 토지 문제,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 등으로 조사됐다.
귀농·귀촌인들의 지역별로 지역민과 관계척도 조사결과, 전남(5점 척도 기준 4.02), 전북(4.01) 순으로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가 좋은 지역일수록 지역주민·마을과의 관계만족도(도움태도, 소속감 등)와 지역 활동 참여도(마을회의 행사 등)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귀촌인들이 참여하는 지역 활동으로 마을 회의·행사가 가장 많았으며(귀농 89.7%, 귀촌 72.7%) 지역단체, 귀농귀촌인 모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들은 거주지에 확충돼야 하는 공공서비스로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약계층 일자리, 임신·출산·양육지원, 노인돌봄서비스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가구의 경우, 문화․체육서비스(30.0%), 취약계층 일자리(17.1%), 노인돌봄서비스(15.8%), 교통서비스(12.0%)로 나타났고, 귀촌가구의 경우, 문화․체육서비스(32.3%), 임신·출산·양육지원(16.5%), 노인돌봄서비스(13.7%), 취약계층 일자리(12.7%)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심층분석해 귀농·귀촌인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보완 방안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며 "귀농·귀촌인이 농촌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