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직장인들이 북적이고 있다. [사진=뉴스1]
[시티타임스=한국일반] 우리나라의 수도권 경제 집중화 현상이 2015년 이후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5일 공개한 지역경제보고서에는 '생산·소득·소비 측면에서 본 지역경제 현황' 이슈 분석 보고서가 실렸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은 조사국 지역연구지원팀 소속 이예림 과장은 "우리나라의 수도권 경제력 집중화 현상이 2015년 이후 더욱 심화됐다"며 "주요 성장 산업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비수도권의 성장 잠재력은 약화됐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은 2015년 이후(2015~2022년) 성장률이 이전 기간(2001~2014년)과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한 반면 비수도권 다수 지역은 성장률이 3%포인트(p) 이상 크게 하락했다.
이에 수도권의 전국 경제 성장률에 대한 기여율은 51.6%에서 70.1%로 상승했다.
수도권은 생산성이 높은 반도체 등 첨단 전자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비수도권은 자동차, 화학제품 및 기계 산업 등이 중국과의 경쟁 심화, 생산성 하락 등으로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면서 성장률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서비스업의 지역 간 성장률 격차는 2015년 이후 축소됐다. 반면 소득 측면에서는 대도시와 도 지역 간 격차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소비의 경우에도 대도시와 도 지역 간 격차는 확대됐다. 이는 청년 인구의 대도시 이동에 따른 인구 고령화 가속화, 소비 인프라 부족 등으로 도 지역의 평균 소비 성향이 대도시보다 더 크게 하락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이 과장은 "저출산 등 우리나라의 구조적 문제들이 수도권 집중화와 관련돼 있는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수도권 지역의 성장 잠재력 확충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며 "비수도권 인구 유출 등에 따른 공급·수요 둔화에 대응하되 향후 재정 부담 등을 감안해 지역 특성에 따른 선택과 집중을 통해 경쟁력 제고를 도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