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yTimes - 전기차 충전시설. [사진=뉴스1]
[시티타임스=한국일반] 최근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이른바 '전기차 포비아(공포)'가 확산하자 정부가 연이틀 회의를 열며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14일 정부에 따르면 전날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산업통상자원부·환경부·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고 전기차 안전관리 강화 방안 마련을 논의했다.
정부는 우선 전기차 제작사에 배터리 정보를 공개하도록 권고했다. 현대차와 기아, BMW는 배터리 정보를 이미 공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현대차는 신형 전기차를 출시할 때마다 배터리 제조사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 벤츠도 조만간 국내 보급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들 기업 외 다른 제작사에도 무상점검 및 배터리 정보 공개를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작사들도 소비자 알 권리를 위해 앞다퉈 배터리 제조사를 밝히고 있는 만큼 정부도 '배터리 실명제' 도입 여부를 면밀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배터리 제조사 공개는 대외비로 분류돼 소비자들은 정보가 '깜깜'한 상황이었다.
반면 해외에서는 이미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방침이 추진 중이다. 유럽에서는 2026년부터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소비자에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의무 공개해야 하고, 미국 캘리포니아주도 2026년부터 부분적으로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가 추진된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제조사 공개 여부 자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다. 가격이 타제품에 비해 높다고 하더라도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국내산 배터리를 더 선호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특히 최근 인천 청라의 화재사고 전기차에 중국산 파라시스 에너지 배터리가 탑재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배터리 3사 제품에 대한 안전성도 주목받고 있다.
다만 전기차에 대한 신뢰 자체가 하락하면서 소비자들의 외면 현상이 길어질 경우 시장 자체에 대한 침체 우려도 제기된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전기차 구매를 취소하는 내용의 문의가 이어지고, 중고 전기차 접수량도 늘어났다. 매물이 늘자 가격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상황 때문에 정부도 전기차 공포를 잠재우기 위해 긴급히 대책을 내놓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산업부는 장기적으로 배터리 자체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최근 화성 아리셀 화재사고를 계기로 전기차에 쓰이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는 산업현장에서 제조·판매되는 에너지밀도가 3~5배 더 높은 '리튬이온 일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