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이 있으면 암도 있다고 하던가.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퍼지면서, 비대면 서비스 등 정보통신(ICT)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했다. 문제는 검증 없이 신기술이 쏟아졌다는 것. 국민은 불신의 눈길을 보내고, 발 빠른 기업은 규제를 풀어달라 아우성친다.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은 신기술을 무턱대고 도입할 수도 가만히 뒤처질 수도 없어 울상이다. 설상가상 제도는 미비하고, 사건·사고가 이어진다. 복잡한 상황 속,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국민 개개인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정비하고 산업이 안전하게 활성화할 수 있도록 기술 표준 제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KISA의 제6대 원장으로 취임한 이원태 원장은 KISA의 연구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고자 애쓰는 중이다. 이번 호에서는 디지털 신뢰 기관 KISA의 이원태 원장에게 임기 기간 어떤 목표로 기관을 이끌었는지, 향후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방향성과 포부는 무엇인지에 대해 들어보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6대 원장으로 취임하신 지 1년 6개월(임기 절반)이 되셨습니다. 독자를 위해 KISA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반환점을 도는 시점이라 남다른 의미가 있네요. KISA는 정보보호 디지털 전문기관입니다. 여러 업무가 있지만, 정보보호와 관련된 업무 그리고 디지털 진흥과 관련된 업무 크게 두 갈래입니다. 정보보호와 사이버 보안이라는 중요 업무가 기관명에는 드러나지 않아 일반 진흥 사업만 하는 기관으로 오해하기 쉬운데 정보보호와 관련된 업무를 주로 합니다. 블록체인을 포함한 디지털 사업도 전담하며 정보통신기술(ICT)을 안전하게 쓸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신뢰 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가 한창일 때 원장을 맡으셨습니다. 어떤 변화가 있었으며, 중점을 둔 부분은 무엇이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