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금값과 비트코인의 동반 강세가 월가에 화제다.
금 연계 상장지수펀드(ETF)의 자산이 7년래 최고치로 급증한 한편 비트코인이 지난해 9월 이후 처음으로 9000달러 선을 밟았다.
골드바 [출처=블룸버그] |
중국 우한에서 주요국으로 확산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지정학적 리스크, 여기에 13조달러 선을 뚫고 오른 이른바 서브 제로 채권 증가가 공통 분모로 자리잡고 있다는 의견이다.
30일(현지시각)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금 관련 ETF의 자산 규모가 1410억달러에 달했다. 이는 7년래 최고치인 동시에 2015년 이후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192억달러의 자금이 관련 상품에 밀려든 데 이어 연초 투자자들 사이에 공격적인 입질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1년 사이 금 선물은 20% 이상 치솟았고, 온스당 1600달러에 근접하며 2013년 이후 최고치에 거래되는 상황이다.
이날 CNN에 따르면 월가 투자자들 사이에 금값 2000달러에 대한 기대가 번지고 있다. 지난 2011년 유럽의 부채 위기를 빌미로 온스당 1900달러 선을 밟았던 금값이 머지 않은 미래에 2000달러를 뚫고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다.
금값과 함께 비트코인이 가파르게 상승, 월가의 시선을 모으고 있다. 미국 투자 매체 포브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심리적 저항선인 9000달러를 지난해 9월 이후 처음 돌파, 1만달러 선을 뚫고 오를 기세다.
일반적으로 금과 비트코인은 동일 선상에 놓고 분석하는 자산이 아니다. 오히려 성격이 크게 상반되는 투자 상품으로 통한다.
흥미로운 것은 시장 전문가들이 두 개 자산의 동반 강세가 동일한 재료에서 비롯된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트코인 [사진=로이터 뉴스핌] |
지정학적 리스크 역시 금과 비트코인의 매수 열기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미국과 이란의 대치 상황이 주가를 압박하는 가운데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엔화가 과거와 같은 상승 탄력을 보이지 않자 투자 자금이 두 개 자산으로 밀려들고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저금리 여건도 대체 자산 수요를 자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에 따르면 마이너스 금리에 거래되는 이른바 서브 제로 채권 물량이 13조달러를 넘어섰다.
지난해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 합의 이후 경기 침체 우려가 꺾이면서 크게 줄어들었던 서브 제로 물량이 연초 지정학적 리스크와 우한 폐렴 확산에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독일 국채를 포함해 안전자산에 자금을 묻을 때 마이너스 금리 폭만큼 손실이 발생하는 시장 여건이 지속되자 투자자들이 금과 비트코인으로 발을 돌렸다는 설명이다.
스팟 골드 에퀴티 펀드의 존 헤서웨이 매니저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금 매수 열기는 세계적인 트렌드"라며 "엔화와 우량 채권 등 안전자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벌어진 일"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러시아를 포함한 주요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구조 변화가 금값의 추세적인 상승에 힘을 실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JP모간의 니콜라스 패니기초글루 전략가는 "러시아와 중국 등 중앙은행이 달러를 포함한 통화 비중을 줄이고 금을 늘리고 있다"며 "구조적인 변화가 금값에 상승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igrace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