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아세안 지역의 10년 국채 금리도 최근 급등
2021년을 1% 아래 수준에서 시작한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제 1.7% 레벨도 돌파해 버렸습니다. 이들 국채를 투자자들의 한숨이 깊어지는 가운데, 이러한 국채 금리 급등은 주요 아세안 지역으로도 번지고 있습니다.
국채 10년물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연초 이후 가장 금리가 급등한 국가는 필리핀입니다. 연초 3.0% 였던 금리는 약 3개월이 채 못 지난 현재 시점에, 4.7% 즉 170bp 급등하였습니다. 그 뒤를 이어 인도네시아가 같은 기간 89bp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말레이시아와 태국은 최근 발표된 거시경제지표 등에서는 여전히 디플레이션 상황 임을 나타내고는 있지만, 이 역시 곧 반전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장기 금리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지만, 단기 금리는 사상 최저 수준을 연일 하향 돌파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아세안 주식에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라면, 최근의 이러한 흐름이 부정적인 것이라고는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들 지역의 상장 주식들은 주로 경기관련 (시클리컬) 주식들로 (금융 31.2 %, 산업 11.2 %, 부동산 7.9 %, 재료 7.1 %, 에너지 6.2 %, 경기민감소비재 5.6%) 이러한 구간에서 결코 불리한 주식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현재 아세안 지역 주요 주식들은 2021년 예상 이익 대비 17.4배, 2022년의 예상 이익 대비 14.8 배로 거래되고 있지만, 이들 같은 기업들의 2021년과 2022년의 이익 성장 예상은 전년 대비 각각 47.1% 와 17.5% 에 달합니다. 최근 리플레이션 모멘텀이 아세안 경기관련 대형주에는 투자 기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표 1. 아세안국가들의10년국채수익률 비교 2020년말 및 2021년 3월 현재
2. 중국, 단기 부양책 축소 등 최근 긴축 스탠스 이유
최근 2월 초 음력 설 명절을 기점으로, 중국 주식시장은 특별한 상승 모멘텀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것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한다면, 중국 정부의 유동성 축소 즉 긴축 스탠스를 들 수 있겠습니다.
중국이 이렇게 단기적인 시장의 기대를 다소 외면 한 채로 지속적으로 장기적인 과제들인 기술 부문에 대한 자립 확대, 친환경 경제 개발 등 먼 미래로 시선을 돌리는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올해 2021년의 중국 경제의 단기 과열 우려에 따른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양회 기간 동안, 중국 정부는 올해 성장을 6% 이상의 다소 완만한 성장을 기대한다고 언급하였지만, 2021년의 첫 2 개월 동안 외국인 직접 투자가 31.5 %, 산업 생산이 35.1 %, 고정 자산 투자가 35 %, 소매 판매가 33.8 %, 수출이 60.6 % 증가하는 등 2020 년의 기저 효과를 고려하더라도, 매우 강력한 경제 회복 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UBS는 2021 년 중국의 GDP 성장률을 9 %로 올렸는데 이는 블룸버그 컨센서스 전망 8.4 %와 IMF의 전망 8.1 %보다 높았습니다.
표 2. 전세계 주요 지역 및 국가 2020년 GDP 성장율 및 2021년 기대치
3. 중국, 일부 회사채 신용위험 노출 확대
중국 정부는 이미 지난 해 8월부터 부동산 개발 회사들의 부채비율 확대 및 부동산 가격 상승 및 과열들을 방지하고자, 일부 회사들에 대해 세개의 붉은 선 (Three Red Line) 조치를 시행한 바 있습니다. (1)자산 대비 부채비율을 70% 이하 (선급금 제외), 2)부채비율 100% 이하, 3)단기채무 대비 현금 비율 100% 이상 등 3가지 조건에 대해 1가지 씩 충족하지 못할 때 마다 부채를 추가적으로 늘리는 비율에 대한 제한을 받는 것)
이러한 속도 조절에, 최근 중국 당국의 잇따른 유동성 관련 축소 조치까지 이어지면서, 일부 부동산 개발 회사는 물론, 지방 정부 자금조달 관련 금융상품, 에너지 생산업체 등이 신용 위험에 맞닥뜨리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올해 중국에서 발생한 채무 불이행 금액 약 100억달러 (약 11조원) 가운데 약 20% 가까이가 이러한 개발업체 관련 물량이었습니다.
지난 해 말 칭화유니그룹 (반도체), 융청석탄 등의 채무 불이행이 있었다면, 최근에는 얼마 전 국영 기업인 충칭에너지투자그룹의 일부 채무 불이행으로 중국 회사채 시장 디폴트 우려 분위기가 다시 고조되고 있습니다.
충칭에너지의 이번 채무불이행의 중국 정부의 공급 개혁에 따라, 올해 7월까지 충칭에 위치한 모든 탄광을 폐쇄하는 것에 따른 것으로, 더 이상 국영기업이라고 모두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습니다.
직전 주제에서 언급해 드린 바와 같이, 중국은 단기적인 고통을 감내하더라도 경제 전반에 구조조정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살아남은 기업들, 즉 강력한 재무건전성을 가진 기업들은 오히려 역으로 더 큰 성장의 기회를 누릴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수 개월 전에 비해 급등한 중국 회사채 금리를 보면, 해당 시장에도 점점 더 매력적인 투자기회가 찾아오고 있다고 예상됩니다.
표 3. 월간 중국 상장 부동산개발업체들의 순 채권 발행액 (신규발행 - 만기도래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