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월 18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Investing.com 게재를 위해 작성된 글
- 생우, 돈육 2021년 초부터 저가 유지
- 1. 대두 가격이 보내는 신호
- 2. 2020년 공급망 혼란으로 낮은 재고
- 3. 인류통계적 추세
곡물 섹터는 2020년 마지막 분기, 상품 시장에서도 가장 뛰어난 19%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대두와 옥수수, 그리고 소맥은 6년 이상의 고점까지 상승했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세계를 먹여살리는 상품들이 상방 돌파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곡물은 그 자체로 필수적인 식품이기도 하지만 식탁에 오르는 각종 식육용 가축의 사료로 쓰이기도 한다. 육우와 돈육 생산은 곡물과 유박류를 포함한 사료 관련 사정에 큰 영향을 받는다.
동물성 단백질 시장은 2020년 다양한 난관을 맞이했다. 목장주와 생산업체들은 상품 시장에도 반영된 낮은 가격에 큰 타격을 입었다. 반면 소비자들은 그와는 반대로 가격이 상승하고 선택지는 줄어드는 모습을 보았다.
생산업체와 소비자들은 양쪽 모두 작년 내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생우와 돈육 가격은 2021년에도 코로나19의 여파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곡물 시장의 움직임을 고려한다면 식육 선물은 향후 몇 개월 동안 상당한 가격 상승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농무부는 1월 12일 화요일, 2021년 첫 세계 농산물 수급 전망 보고서(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를 공개했다. 곡물 가격은 해당 발표 뒤 대폭 상승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생우, 돈육 낮은 가격으로 2021년 맞아
생우와 돈육은 곡물 시장과 같은 강세를 보이지 못했다. 1월은 육류 수요 비수기의 정점이다. 육류 소비가 최고조에 달하는 것은 5월 말에서 9월 초순 사이다.
![2011-2021 생우 월간 차트 2011-2021 생우 월간 차트](https://d1-invdn-com.akamaized.net/content/picaff4b0df6172a6daad9d18e8784d06ba.png)
CQG 제공 차트
생우 선물 월간 차트에서는 2014년 고점인 파운드당 $1.71975에서부터 꾸준히 약세가 이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생우는 점점 낮아지는 저점과 고점을 기록했으며, 직전 저점인 2020년 4월에는 파운드당 81.45센트를 기록했다. 기술적 저항선은 2020년 1월 고점인 파운드당 $1.2755다. 이 가격대를 돌파하면 생우 선물은 6년 동안 이어진 약세장을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지난주 생우 최근월물은 $1.13을 밑돌았다.
![2011-2021 육우 월간 차트 2011-2021 육우 월간 차트](https://d1-invdn-com.akamaized.net/content/picd2c1fe69ef26ef883c29158b7fad749f.png)
육우 선물 월간 차트에서는 2014년 $2.4480의 고점을 기록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0년 4월에는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1.0395의 저점까지 하락했다. 그 이후로 가격이 어느 정도 회복되는 모습이 확인되기는 했으나, 2014년부터 이어진 약세장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1.4640에서 $1.4940 수준을 돌파해야 한다. 1월 15일 기준으로 최근월물 육우 선물은 $1.35를 밑도는 가격에 거래되었다.
![2011-2021 돈육 월간 차트 2011-2021 돈육 월간 차트](https://d1-invdn-com.akamaized.net/content/pic511db771bfff48c6b43a81291aeeecaf.png)
파운드당 70센트를 밑도는 월간 돈육 선물 차트에서는 돈육 선물이 지난 4월 18년 저점인 37센트를 기록한 뒤 회복세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압박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80센트와 94센트를 돌파해야 한다. 금요일 종가는 68센트를 조금 넘어선 수준이다.
지금부터 2021년에 육우와 돈육 가격이 상승세를 보일 수 있을 이유 3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대두 가격이 보내는 신호
식육용 가축을 사육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하는 것은 사료다. 사료 가격은 2020년 중순부터 하늘을 찌를 듯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1-2021 대두 월간 차트 2011-2021 대두 월간 차트](https://d1-invdn-com.akamaized.net/content/picfe990b6535cde06e68c5cc02d5fd70af.png)
대두 선물 월간 차트에서는 2020년 4월 부셸당 $8.0825의 저점을 기록했던 대두가 지난주 $14를 넘어섰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두는 1월 초부터 2014년 6월 이래 최고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대두박은 사료의 주원료다.
![2011-2021 대두박 월간 차트 2011-2021 대두박 월간 차트](https://d1-invdn-com.akamaized.net/content/piceb0e7d71172f286f03e03389548e5942.png)
지난 4월 톤당 $278.80을 기록한 대두박 선물은 지난주로 톤당 $460을 넘어섰다. 또 다른 사료용 작물로는 옥수수가 있다.
![2011-2021 옥수수 월간 차트 2011-2021 옥수수 월간 차트](https://d1-invdn-com.akamaized.net/content/pic2905c2616795961fac9a9a8b1f2a599c.png)
월간 옥수수 선물 차트에 의하면 지난 4월 부셸 당 $3 수준에 머무르던 가격은 지난주, 2013년 7월 이후 최고가인 부셸당 $5.40 이상까지 상승했다.
투입재 가격이 상승하면 상품 자체의 가격도 상승하게 된다. 동물성 단백질 생산자들은 사료 가격이 무서울 정도로 치솟는 상황에서 2021년 육류 수요가 가장 높은 시기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2. 2020년 공급망 혼란으로 낮은 재고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육류 가공공장이 폐쇄되거나 가동률을 낮추게 되면서 농장주는 낮은 가격에, 소비자는 높은 가격에 각각 시달리게 되었다. 농장주들은 가공공장 폐쇄로 가축을 처분할 수 없는 상황을 겪었다. 2020년의 경제적 타격과 2021년의 높은 사료 가격을 감안했을 때 생산량 감소는 것은 자연스러운 결론일 것이다. 높은 곡물 가격은 또한 가공공장으로 향하는 가축을 줄여 수급난을 유발할 것이다.
5월 말이면 본격적인 육류 소비철이 시작된다. 여름이 되면 백신 접종으로 코로나19 집단면역이 형성되고 2020년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모임과 파티, 바비큐 등이 열리며 육류 수요가 상승하게 될 것이다. 2020년의 공급망 혼란과 곡물 가격 상승에 더해 올해 하반기 중으로 생활이 어느 정도 정상화되기까지 한다면 육우와 돈육은 강세를 보이기에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한 조건을 갖추게 된다.
3. 인류통계적 추세
마지막으로는 상품 전반의 수요를 꾸준히 높이고 있는 인류통계적인 추세를 들 수 있다. 육류도 이 추세에서 예외는 아니다. 2000년대에 들어섰을 때 세계 인구는 약 60억 명이였다. 21년이 지난 지금, 미국 통계국은 세계 인구가 28.9% 이상 증가해 77억 3,600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인구 중 상당수가 육류를 소비한다. 인류통계학은 육류의 수요 펀더멘털에 꾸준히 상승 압박을 가한다. 지난 6년 사이의 가격은 약세를 보였으나, 그 이전 약 20년 동안에는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왔다.
![1992-2021 생우 분기별 차트 1992-2021 생우 분기별 차트](https://d1-invdn-com.akamaized.net/content/pic5397de84acaacd1a9460537c1caefd65.png)
분기별 차트에서는 2000년에서 2014년까지 생우 시장의 가격 강세를 확인할 수 있다. 육우 가격은 그 이후 대체로 일정 가격대에 머무르는 모습을 보였다.
![2011-2021 육우 분기별 차트 2011-2021 육우 분기별 차트](https://d1-invdn-com.akamaized.net/content/picf321f85229c20e0cc48fd39ec2484b36.png)
분기별 육우 선물 차트 역시 조정 기간에 기준가가 조금 높은 편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같은 성향을 보인다.
![2011-2021 돈육 분기별 차트 2011-2021 돈육 분기별 차트](https://d1-invdn-com.akamaized.net/content/picd6e8d58d74a4985b154ca778606dd307.png)
돈육은 지난 6년 동안 분기별 차트에서 대체로 같은 가격대에 머물렀다. 인류통계학적 요소는 지난 20년 동안 육류 선물 시장에 대체로 강세 영향을 주었다.
곡물 시장의 가격 움직임을 감안한다면 육우와 돈육도 조만간 상승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육류의 리스크 포지션을 가장 직접적으로 취할 수 있는 방법은 시카고상품거래소의 선물을 통한 것이다. iPath® Series B Bloomberg Livestock Subindex Total Return ETN (NYSE:COW)는 앞으로의 육류 가격을 추종할 것이다.
--번역: 임예지/Investing.com Korea
인베스팅닷컴 & https://kr.investi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