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프트는 우버, 그랩과 함꼐 차량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IT기업이다. 우버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그랩은 아시아를 주 타겟으로 시장을 석권했고 리프트는 북미에만 300여개 이상 도시에서 서비스를 한다. 코로나 사태 이전에는 하루 100만건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했다.
리프트가 우버가 선점한 차량공유 서비스 산업의 후발주자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포지셔닝에 있다. 우버는 단지 차량 송유 서비스로 진입했지만 리프트는 친구 차를 얻어타는 느낌의 서비스를 모델로 삼아 좀 더 fun한 서비스를 제공했다.
2018년 우버의 시장 점유율은 121%로 상당한 수준의 성장률을 보여주었다. 물론 기초적인 점유율은 우버가 7 대 3으로 우세이기 때문에 성장률 부분에서 통계적 해석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많다. 그렇지만 그 차이가 좁혀지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매 분기 폭발적으로 성장했던 매출과 다르게 1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감소하여 19년 3분기 매출로 돌아갔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수요 감소가 원인이다. 우버와 같이 순이익이 여전히 적자이기 때문에 혁신적 서비스의 실질적 현금 창출능력이 부족하다는 평이다.
새로운 교통수단의 패러다임을 만든 차량 공유 서비스가 아직도 스타트업의 길만 걷고 있어서는 안된다. 우버의 경우 대부분 손실을 우버이츠나 자율주행등의 신기술 투자에 사용했다. 리프트는 우버와 달리 고객의 운송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즉, 대부분의 비용을 우버가 가진 시장 점유율을 가져오는데 사용했다. 점유 확대를 위해 약탈적 가격(Predatory price, 손실을 보며 가격을 낮춰 시장점유를 확대하려는 전략(카카오 T, 통큰 치킨))을 차용한 가운데 우버라는 큰 산맥을 어떤 전략으로 오를지, 지금 사업 모델이 어디까지 먹힐지가 관건이다. 거대한 자본과 현금을 앞세워야 하는 약탈적 가격 전략을 리프트는 IPO와 투자유치를 통해 실행했다. 즉, 부채로 쌓은 점유율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전체적 수요가 급감한 이 때, 더 큰 부채로 돌아올 타격을 어떻게 헤쳐나갈지가 중요한 포인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