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6,7일 OPEC과 비OPEC간의 회의가 진행중입니다. 지금 시장 참여중인 국가들이 제안한 합의가격과 이에 대한 리뷰가 있겠습니다.
* 선요약
사우디($87.9)와 러시아($40)의 합의가 조정이 이우러 지지 않고 있습니다. 사우디가 다른 전략자산 구매를 하지 않을 시 러시아는 낮은 유가로 압박을 할 것입니다.
▣ 합의 가격 (OPEC내, 2019년 말 $73.72)
12월 6일 진행될, OPEC 회의에서는 이전 2017년과 같이 사전에 국가별 합의가격(WTI유기준 $57)이 순조롭게 합의가 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OPEC내 국가들의 합의가격의 스펙트럼이 굉장히 크게($ 47~223) 나타납니다(표 1).
표에서 중요하게 볼 부분은 러시아의 합의가($40)와 사우디의 합의가($87.9)입니다. 이러한 합의가 차이만큼 사우디와 러시아의 사전 합의가 중요한데, 러시아가 중동에게 천연가스매입을 요구하는 상황입니다. 최근 미국에서는 폴란드 내에 트럼프기지라는 별명의 천연가스 허브를 만들었습니다. 즉, 유럽 내 가스가격을 통한 러시아의 영향력 및 정치적 입지가 굉장히 약해지는 상황이 지속될 거라 보고 있습니다. 이로 러시아는 사우디가 러시아산 천연가스 매입을 하지 않을 시 WTI유 기준 $40로 유가를 낮출 것이라 압박하고 있습니다. 사우디가 천연가스 매입에 승인할 경우, 러시아는 합의가격을 1월말까지 $63로 맞출 것을 약속했습니다.
우선 위 (표 1)의 합의가격을 보시면 일부 OPEC국가는 기권을 하였고 투표에 참여하는 국가들은 지분과 의석 수를 통해 2019년 합의가격을 WTI유기준 $73.72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우디의 경우 2018년 무산된 아람코 상장을 위해 $79위의 가격을 주장할 것입니다.
생산 여분이 많은 국가중 가장 큰 여분을 갖는 국가는 이란이고, 감산합의에 있어 여유분을 많이 가진 국가(이란, 이라크, 쿠웨이트)의 정치적 입지가 큽니다.
카타르의 경우 5년간 생산 비중에 있어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는데, 이는 인프라와 별개로 매장량과 생산성에 문제로 보고 있습니다. 이로 카타르는 내년부터 OPEC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이로 천연가스에 집중하는 정책을 펼치기로 했습니다.
▣ 러시아와 사우디의 합의
러시아는 천연가스가스와 같은 (에너지 또는 식량) 전략자산을 담보로 사우디와 합의를 진행 중입니다. 결국 감산에 있어 OPEC만으로 유가를 끌어 올릴 수 없는데, 현재 비OPEC국가들이 점유율이 보장받기 어려운 상황에서 낮은 합의가(최저 $40)로 협박에 가까운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비OPEC의 합의가 도출만 되면 감산으로 인한 상승효과가 두드러질 것에 대한 반증이 됩니다.
▣ 금리의 문제
최근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다. 3년물 금리와 5년물 금리 차이가 0에 도달하였습니다.
S&P지수에 굉장히 악영향이나 금리가 높게 유지되는 신흥국으로 자금이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흥국 전체 지수(MSCI EM)에 따른 ETF를 매수, S&P500을 추종하는 etf의 매도의 스프레드 구축 또한 19년 1분기까지 유효합니다
▣ 금 (12월 5일 현재가 1,240)
국제 평균금리의 하락을 바탕으로 금값은 상승할 것이나 미국의 하락 – 신흥국의 상승 스프레드로 큰 상승은 없을 것입니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인 제프리 큐리(Jefferey Currie)는 3개월후 온스당 $1,250 6개월 후 1,300달러, 12개월 후에는 1,350달러로 전망치를 유지했습니다.
안전자산으로 수익(~7%/yr)은 있겠으나 투자대비 높은 수익률의 상품은 아니라 판단됩니다. 그러나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포토폴리오에 꼭 넣어야 할 상품이라 봅니다.
▣ 전략수립
- 2019년 합의 가격은 $73.72입니다. 이러한 합의가에 대한 대응은 낮은 레버리지(ETF대응)로 장기 대응 하는 것이 효율 적입니다.
- 사우디와 러시아의 비공식 협의가 있을 시, 1월 평균유가는 $65에 수렴할 것입니다.
- 효율적인 투자는 다음 순서와 같습니다.
- ① $47풋옵션매도+ETF매수(종목코드: UWT) – 비중 (3: 7)
- ② $65, $74 콜옵션 매도 + ETF매수(종목코드: UWT) + 선물매도 단기 대응 – 비중 (24: 64: 12)
- ③ 선물매수(day trading) + ETF매수(종목코드: UWT) + 신흥국 시장 매수(종목코드: EDC)
- 금은 7일 청산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신흥국 지수 회복, 러시아와 사우디의 합의 진행에 따라 원유매수 (적정 마켓타이밍 – 12월 10일)
- 낮은 레버리지의 금매수 그러나 안전자산으로서 가치가 있음, 기대 수익률은 8%미만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