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극해의 해빙으로 신규 항로가 생길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해빙은 단순히 환경적 영향 외로 경제 및 유통시장에 영향력이 굉장히 크게 작용할 것입니다.
현재 항로는 적도부근과 인도양을 거치게 됩니다. 북극항로를 경유 시 가시적인 거리의 감소효과와 물류의 품목별 품질관리에 있어 메리트를 볼 수 있습니다.
북극해에 접해있는 러시아, 미국, 캐나다가 항로의 개설 및 항만 인프라에서 혜택을 가장 많이 볼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 중 러시아가 갖는 이점이 굉장히 많아 집니다. 러시아의 경우 근 몇 년간 가스와 밀(wheat) 시장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출에 있어 적도를 거치지 않고 북반구에 유통을 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이점이라 봅니다.
특히 밀의 경우 러시아의 CME 수출 및 인수도 물량이 증가하는데, 추후 항로가 많아질 수록 미-러간 물자 유동성은 더 활발해질 것입니다.
에너지 섹터 내 가스의 경우 LNG와 LPG의 형태로 구분이 되는데, LPG의 운송에 있어 더 많은 항로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것 또한 이점입니다.
이는 한국내 부산, 옥포항에 허브역할이 더 커지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선박이 많아 질 수 록 국내 항구 및 선박에 붙는 프리미엄은 상승할 것이라 봅니다.
그러나 꼭 이로 피해 및 경쟁을 해야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철도관련 섹터입니다. 철도가 북극해를 통해 유럽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속도, 안정성, 용량대비 얼마나 메리트가 있을지 그리고 미국으로 유통이 더 자유로운 선박인프라보다 철도인프라를 더 늘릴 필요가 있을지 고려해보아야합니다.
장기적(10년 기준)변화로는 밀과 천연가스의 가격은 인플레이션 효과, 투기세를 제외환 순가격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그리고 원유시장에 디젤 소모량 상승에 영향을 줄 것입니다.
--- 전략수립 ---
러시아, 미국기반의 선박회사 컨테이너선-벌크선 위주 주식 매수
천연가스 장기 매도
러시아 지수 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