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월 4일 - 원유재고 감소로 상승기류를 보였으나 미중 무역전쟁과 아랍권(이란/사우디)의 갈등문제가 복병으로 남아있습니다. 2, 3일 간의 상승여력이 있으나 이후 하방의 압력이 점차 강해질 겁니다.
2. 4월 4일 중국이 미중 무역 전쟁에 대한 선포를 했습니다. 그러나 시행령이 직접적으로 효과를 볼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4월 10일자 WASDE발표가 있으며 시행령 시행일은 14일 예정입니다.
농산물의 경우 대두와 옥수수는 혼조세를 이어 갈 것 입니다.
3. 올해 들어 러시아측이 밀 수출 시장의 점유율을 굉장히 많이 높여 두었습니다. 미국과 비등비등한 수준에서 제법 점유율면에서 추월한 것을 보여주는데요.
이와 동시에 CME거래소 내에서 거래되는 흑해산 밀의 단가가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계속 가격을 올리면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겠지만 파종이 시작되는 점에서 재고를 가장 많이 쥐고 있는 러시아가 단가를 꾸준히 올리면 시장이 동조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 - - 전략 수립 - - -
- 원유 -
당월물 콜매도 66~69 이상
4월 6일 까지는 선물 매수로 거래시간 120분내로 거래. (2시간 내로 무조선 포지션 청산)
4월 6일 이후 풋매수(선물 매도)위주 거래
- 대두, 옥수수 -
미중 무역전쟁의 시행령이 효력을 갖을지 미지수인 점을 감안하면 14일까지 거래 금지
- 밀 -
러시아가 단가를 꾸준히 올리나 시장 점유율 조정에 있어서 낮은 변동성을 보일 것
선물 매수와 440아래 지점에서 풋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