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월23일 (로이터) - 정부는 미중 통상분쟁 장기화와 환율 문제를 둘러싼 갈등,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대외 위험 요인이 더욱 커졌다고 판단하고 경계의 수위를 끌어 올렸다.
정부는 대외 여건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시 시장안정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시장 심리 안정을 위해 투자자들을 관리하고, 한국경제설명회(IR)도 개최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23일 로이터와의 전화통화에서 "미중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신흥국 문제도 그렇고 대외 부문에서 다운사이드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필요시 시장안정 조치를 취하고 투자자 관리, IR 등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김동연 경제부총리 주재로 대외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주요 위험요인과 그동안 준비해 온 여러가지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을 점검했다.
김 부총리는 모두 발언에서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미국이 향후 6개월간 위안화 절하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 하겠다는 강한 입장을 밝혀 양국간 환율갈등이 언제든 불거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러한 미-중 갈등이 신흥국 불안과 미국의 금리 인상 등 다른 위험요인과 연계될 경우 시장에 주는 충격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실물부문에서도 통상갈등 등으로 세계경제 하방위험이 고조되고 있다"며 "가장 큰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
미-중 통상갈등의 해결에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다양한 시나리오와 그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겠다"며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외여건 악화에 대한 경계 수위를 높이면서도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견조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부가 대외여건 악화에 적극 나서는 것은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차단하기 위한 것일 뿐 외풍에 흔들려 한국 경제가 위기에 빠질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얘기다.
9월 중 외국인 채권 순투자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에 대해서도 국채만기 도래 물량이 많았고, 재정거래 유인이 축소된 데 따른 현상으로 보고 있다.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에 대한 외인들의 신뢰가 약해져 나타난 현상은 아니라는 판단이다.
앞의 고위 외환당국자는 "스왑레이트가 올라가고 있어 재정거래 유인이 주는 건 확실하다"며 "내외금리차 탓으로 보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이 많이 유입됐고, 이게 오히려 자본유출 리스크 요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조금 줄어드는 것도 나쁘지 않다"며 "펀더멘털을 감안하면 위기감을 느끼거나 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한국물 CDS 프리미엄이 30bp대를 보이고 있고, 가산금리나 외채 만기상환률 등의 대외건전성 지표가 매우 안정적이라며 "외국인 투자자들을 만나보면 대부분 한국과 중국을 다른 신흥국들과 구분해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신형 기자; 편집 박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