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가운데 매출이 1조원을 넘는 기업은 2.5%에 불과하다. 절반 이상 중견기업은 연매출 1000억원 미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갓 벗어났지만 생존을 위해선 기업 규모를 불리는 게 절실한 기업이 대부분이다. 대기업이 주도하는 한국의 산업 생태계에서 ‘허리’ 역할을 해야 하는 연매출 1조원 이상 중견기업이 ‘가뭄에 콩 나듯’ 나오는 것은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된다. 현재 110여 개 수준인 매출 1조원 기업을 200개 이상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기업 정책 전문가들은 중견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해선 초기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에만 쏠려 있는 지원책을 중견기업까지 분산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중견기업이 기업 육성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진단했다. 중소기업처럼 보호받지도 못하면서 대기업만큼 경쟁력도 갖추지 못해 상당수 중견기업이 ‘성장 모멘텀’을 잃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미진 중견기업연합회 정책팀장은 “많은 사람이 중견기업을 떠올리면 규모와 역량을 갖춘 준(準)대기업을 상상하지만 현실은 중소기업에 가까운 곳이 대부분”이라며 “법적으로 중견기업의 정의도 ‘중소기업이 아니면서 대기업이 아닌 집단’으로만 정해져 있는 까닭에 정책적 지원의 ‘공백’ 상태에 놓여 있다”고 설명했다.
정책 지원 방향 가운데 수출 지원책을 강조하는 전문가가 많다. 중견기업 스케일업을 위해 해외 시장 진출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이유 때문이다.
김문겸 숭실대 중소기업원장은 “음식료업 등 전통산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중견기업은 글로벌 시장으로 나가려는 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며 “수출을 유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도록 돕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예 정부 지원을 받은 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진출을 강제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이영주 산업연구원(KIET) 중소·벤처기업연구본부장은 “정부 지원을 받은 기업이 내수시장에 머무른다면 지원을 받지 못한 다른 기업을 고사시킬 가능성도 적지 않다”며 “벤처특별법 등 현재 정부 지원 구조에선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조항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원을 받은 기업엔 해외 진출 실적을 일정 부분 요구하는 방안을 고려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중견기업 금융 어려움 돕자" 중견기업 금융애로 세미나 개최
“민관 합동 중견기업금융위 만들자”
가업상속공제 고용의무 부담 줄었지만…공제 대상 확대없는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