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yTimes -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 찾은 관람객. [사진자료=뉴스1]
[시티타임스=한국일반]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중국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저가 전기차를 잇달아 선보이면서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하이니켈 삼원계 제품에 주력하던 국내 배터리 3사는 중국 기업의 주력 제품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개발에 착수, 대응에 나섰다.
동시에 삼원계 배터리의 광물 비중을 조정해 가격을 낮춘 미드니켈(Mid-Ni), 코발트프리(망간리치)도 저가·보급형 모델로 준비하고 있다.
다만 미드니켈과 코발트프리는 현재 기술력으로는 LFP보다 경쟁력에서 뒤처져 업계에서는 저가·보급형 시장에서 중국 기업에 밀릴 수 있다는 위기감이 돌고 있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은 저가·보급형 배터리 시장 공략을 위해 제품군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가 저가·보급형 배터리로 제시한 것은 크게 미드니켈과 코발트프리, LFP로 나뉜다.
미드니켈과 코발트프리는 기존 NCM(니켈·코발트·망간) 및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같은 삼원계 배터리에서 가격이 비싼 광물 비중을 낮춘 제품이다.
미드니켈은 하이니켈(니켈 80% 이상) 제품 대비 니켈과 코발트 함량을 낮추고 대신 망간 비중을 높인 제품이다. 에너지 밀도가 낮아 주행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지만 가격이 저렴해진다.
코발트프리는 가격이 비싼 광물인 코발트를 아예 빼고 망간 비중을 높인 제품이다. 차세대 배터리 중 하나로 꼽힌다.
우리나라가 삼원계 배터리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만큼 LFP와 함께 미드니켈, 코발트프리 제품 개발에 속도를 올리고 있지만 당장 눈앞에 다가온 배터리 저가 전쟁에 대응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회의론이 나온다.
미드니켈은 LFP보다 가격 경쟁력과 성능이 떨어지고, 코발트프리는 개발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배터리 업계가 공을 들이는 코발트프리 제품은 현재 기술력으로는 전압이 낮아 고출력 달성이 어렵고, 충전 시간도 길다고 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개발 중인 망간리치(코발트프리)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와 전압 측면에서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다. 단시간 내에 상용화하기 쉽지 않다"며 "미드니켈도 LFP와 비교하면 전압이 낮다. 현재로서 저가 시장에 진출하는 방법은 LFP 배터리 생산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미 중국 기업들은 LFP를 앞세워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도 불구하고 미국 완성차 기업인 테슬라와 포드 등이 중국산 LFP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고, 유럽에서도 폭스바겐, BMW 등 기업이 저가형 전기차 생산을 위해 중국 기업과 손을 잡았다. 현대자동차와 KG모빌리티도 최근 저가형 전기차 모델에 LFP 배터리를 채택했다.
최근 중국 CATL은 완충 시 최대 주행거리가 700㎞에 달하는 LFP 신제품 '션싱'(神行)을 내년 출시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단점이었던 주행거리도 극복했다는 의미다.
업계에서는 결국 저가·보급형 배터리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보하려면 LFP 기술력을 끌어올릴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저가형 시장 공략을 위해 LFP 양산을 서두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 전기차용 LFP 양산을 공식화했고, 삼성SDI는 LFP와 코발트프리 일종인 NMX를 2~3년내에 양산하는 방향으로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온은 올해 상반기 전기차용 LFP 시제품을 공개했으며 고객 확보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