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속보
Investing Pro 0
⏰ 맞춤형 실시간 뉴스를 통해 시장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해 보세요 시작하기

[뉴욕증시] 연준, 긴축정책 완화에 인플레 둔화 기대감… 다우 1.09%↑

주식 시장 2023년 02월 01일 07:43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기사는 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 Reuters [뉴욕증시] 연준, 긴축정책 완화에 인플레 둔화 기대감… 다우 1.09%↑
 
US500
+0.97%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DJI
+0.88%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IXIC
+0.95%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미국 뉴욕 증시는 31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주시하며 상승 마감했다.

미국 노동자들의 급여·복지 수당 등 기업들의 고용비용 상승세는 지난해 4분기 둔화됐고 연준의 가파른 금리인상이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이날 다우존스 30 산업 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368.95 포인트, 1.09% 올라간 3만4086.04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도 전일보다 58.83 포인트, 1.46% 오른 4076.60으로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일에 비해 190.74 포인트, 1.67% 상승한 1만1584.55로 장을 마쳤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고용주들의 지난해 4·4분기 직원 급여·복지 비용 지출 증가율은 전분기에 비해 1% 증가했다. 지난해 3·4분기 증가율 1.2%를 밑돌았다.

고용비용지수는 1년 전보다는 5.1% 올랐다. 이날 이틀 일정으로 시작된 연준의 FOMC에서 금리인상 고삐를 늦출 이유를 찾았다는 분석이다.

연준은 앞서 지난해 네 차례에 걸쳐 0.75%포인트씩 금리를 올렸고 연말에는 0.5%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경제지표 흐름 등으로 볼 때 연준이 3월(21~22일) 또 한 번 0.25%포인트 금리인상을 결정한 뒤 이후 일단 멈춤 상태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캐피털이코노믹스 선임 이코노미스트 앤드류 헌터는 "앞으로 수개월에 걸쳐 임금 상승세가 더 둔화되면 3월 회의 이후 연준 관계자들이 금리인상 흐름을 일단 멈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머니S에서 읽기

[뉴욕증시] 연준, 긴축정책 완화에 인플레 둔화 기대감… 다우 1.09%↑
 

관련 기사

의견 등록하기

의견 지침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풍성한 대화 나누기.
  • 주제에 집중하기. 토론 주제와 관련된 것만 게시합니다
  • 존중하기. 부정적인의견도 긍정적이고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표준어 사용: 문법에 맞춰 글을 작성합니다.
  • 주의사항: 의견에 포함된 스팸이나 홍보용 메시지 및 링크는 제거될 것입니다.
  • 저자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욕설, 비방, 또는 인신공격은 삼가하시기 바랍니다.
  • 대화를 독점하지 마십시오열정과 소신에 감사드립니다. 다만 다른 분들에게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의견은 간결하고 사려 깊게 제시하시고 다른 사람이 불편해 할 수 있음으로 같은 의견을 되풀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야기나 포럼을 독차지하는 사람에 대한 불만이 접수될 경우, 해당 사이트에서 그 사람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 의견은 한글로 작성해주세요.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

 

여기에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세요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공유: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모든 의견은 중재자가 승인할 때까지 보류되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웹사이트에 표시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의견 (15)
HyungJu Kim
HyungJu Kim 2023년 02월 01일 11:4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또속? ㅋ
류 형선
류 형선 2023년 02월 01일 10:23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너무 과도한 기대 아니냐 강달러 풀리면서 수입 물가 오를텐고 기름은 전략 비축류 방출 때문인데 벌써부터 완화은 설레발이지
울버 린
울버 린 2023년 02월 01일 9:31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네? 돈을 푸는데 인플레가 둔화 된다고요?
태백 정
태백 정 2023년 02월 01일 8:46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오늘 밤은 미끄럼 대비 ㅋ
호연 김
호연 김 2023년 02월 01일 8:44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인플레 둔화에 긴축 완화 기대감 아닌가? 누가 설명좀
Henry Jang
Henry Jang 2023년 02월 01일 8:38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금리가 3년 유지된다는 모지리는 뭐냐. ㅉㅉ
승재 이
승재 이 2023년 02월 01일 8:38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넌 뭐 똑똑하냐ㅋ 말투가 모지린데
리 샤인
리 샤인 2023년 02월 01일 8:31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금리 멈춰도 이렇게 높음 금리가 3년은 유지될거고 인플레이션 들썩이면 언제든 올림 무엇보다 파월 연임없어서 역상이 죄인될일없음 이젠 긴축시대다
Henry Jang
Henry Jang 2023년 02월 01일 8:31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모지리 3넨? ㅋㅋ
sam lee
sam lee 2023년 02월 01일 8:31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돈풀기는 멈출수 없음 다 뒈지는그야
경수 김
경수 김 2023년 02월 01일 8:21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이젠 논리도 뒤죽박죽이네
rednine Im
rednine Im 2023년 02월 01일 8:16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파월 낮잠 자다가 벌떳벌떡 일어나는 소리 들리네 50비피 가겠다
Sg Sin
Sg Sin 2023년 02월 01일 8:12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긴축을 완화하는데 인플레가 둔화해? ㅋㅋㅋㅋㅋ 하나만 해라 섀끼들아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의견에 차트 첨부하기
차단 확인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이 의견 보고하기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의견에 깃발 표시됨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혹은
이메일로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