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 시사에 상승 마감했다.
23일(현지시각) 뉴욕증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97.01포인트(0.28%) 오른 3만4195.11로 마감했다. S&P 500지수는 23.88포인트(0.60%) 오른 4027.46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10.91포인트(0.99%) 오른 1만1285.32로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이날 연준이 공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에 주목했다.
연준은 의사록을 통해 "과반을 상당히 넘는 수의 참석자들은 (기준금리) 인상 속도 둔화가 곧 적절해질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 1∼2일 열린 11월 FOMC 정례회의에서 4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해 기준금리를 3.75∼4.00%로 끌어올렸다. 제롬 파월 의장은 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이르면 12월부터 인상 폭을 낮추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번 의사록이 당시 파월 의장의 회견 내용을 뒷받침한다는 평가가 나왔다.
또 다수의 FOMC 위원들은 통화정책이 연준 목표치인 인플레이션 2%대 안착에 충분할 정도로 제한적인 수준에 가까워짐에 따라 향후 속도 조절이 적절해지리라 관측했다.
개장 전 나온 고용 지표는 다소 부진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4만건으로 나타났다. 8월 중순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22만5000건)를 웃돌았다. 아마존 (NASDAQ:AMZN), 메타(페이스북 (NASDAQ:META) 모회사), 트위터 등 빅테크들은 이미 초강력 구조조정에 돌입한 상태다. 고용시장 냉각은 임금 인플레이션을 완화 시키는 식으로 연준의 긴축 속도조절을 뒷받침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앞으로 수개월 안으로 금리 인상 폭이 축소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며 투자심리가 살아났다.
종목별로는 실적에 따라 희비가 엇갈렸다. 백화점 노드스트롬 (NYSE:JWN)은 분기 순이익이 적자 전환했다는 소식에 4% 이상 하락했다. 최대 농기계 업체 디어는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5% 이상 상승했다.
테슬라 (NASDAQ:TSLA)를 비롯한 미국 전기차주는 긴축 완화 기대감 속에 일제히 상승 폭을 키웠다. 테슬라는 증권가 호평까지 맞물리며 8% 가까이 급등했다. 니콜라는 3.48%, 리비안과 루시드는 각각 2.66%, 1.18% 상승했다.
알파벳도 장중 상승 폭을 축소했으나 FOMC 의사록 공개 후 재차 상승 폭이 확대돼 1.45% 상승했다. 애플도 머스크의 앱 수수료 언급 후 반독점 이슈가 부각되며 장중 하락 전환하기도 했으나 이후 0.59% 상승 전환으로 거래를 마쳤다.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