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선 중흥그룹 회장. 사진=중흥그룹
[인포스탁데일리=이정민 평판체크연구소장] 최근 중흥그룹이 대우건설 인수를 완료하고, 국내 3대 건설사의 길을 걷게 됐다. 인수 승인이 결정된 직후, 대우건설의 전 대표이사를 포함한 전략, 재무, 조달 등의 임원 40여명 이상이 면직된 대대적인 인사 조직개편이 이루어졌다.
그 과정 중에서 중흥그룹 정찬선 회장의 친손자 정정길씨가 20대의 나이임에도 전략기획팀 부장이라는 요직을 맡아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사위인 김보현 전 헤럴드 부사장의 아들들인 김이열, 김이준 씨도 대우건설에 입사했다. 김보현 부사장은 대우건설 임원으로 합류 예정이었으나, 노조 등이 강력히 반발하면서 결국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낙하산 인사 및 3세 승계 준비라는 해석과 함께 대우건설의 독자경영, 전문경영인 체제가 오너 가족 경영화가 된다는 평판이 있다. 관련 가족경영 기업(Family Ownership and Firm, Family Business)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중흥그룹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우건설. 사진=인포스탁데일리
◇ 대우건설 인수, 중흥 가족경영으로 ‘중흥화’ 나서
중흥그룹은 전형적인 가족경영 기업이라 볼 수 있다. 설립자인 정찬선 회장의 중흥건설, 장남 정원주 사장이 있는 중흥토건을 중심으로 한 건설그룹으로써, 거의 모든 계열사의 소유 지분에 정찬선 회장 오너 일가가 중심이 됐다. 이런 가족경영은 이중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가족 구성원들의 경영 참여 및 통제가 기업 성과 및 가치 상승에 유익하면서도 여러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고 상이한 결과를 보이기 때문이다[1].
우선, 기업 재무성과 측면에서 가족경영과 기업 승계는 긍정적이다. 실제로 국내⋅외 수많은 대기업(글로벌 다부문 기업)들이 특정 일가를 통해 소유, 경영되고, 세계 경제의 대부분을 지배하고 있다[2,3]. 이들은 주인의식을 통해 기업의 규모, 성과, 가치를 상승시키고, 신흥 경제 및 선진국 경제에서 GDP 성장과 고용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선행 재무 분석 연구에서도 창립 가족이 지배하는 기업이 다른 기업보다 가치가 더 크고 효율적으로 운영되며 부채가 적었다[4]. 가족 구성원이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기업 성과가 향상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수익 성장률이 높아졌다[5]. 이는 승계된 기업에도 해당되어서, 설립자 후손이 지배하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효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6].
이전 현금 보유량이 많고 부채비율이 적은 편인 증흥그룹 역시 가족기업의 긍정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대우건설을 가족 기업화(중흥화)해 성과 향상을 목표하는 점이 이해된다.
다만 중흥그룹은 비상장사임에 반해 대우건설은 상장사로서 경영 및 관리, 세부적 기업 목표가 달라진다. 선행연구를 볼 때, 새로운 경영 스타일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후손 승계를 함께 진행할시 가족경영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부정적 결과가 나타나기 쉽다. 가족경영의 문제점은 경영을 도맡는 가족 구성원의 역량 부족, 그리고 앞선 세대의 경영 스타일을 물려받는 것이다.
승계 받는 후손은 비즈니스 운영을 유지하고 확장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7]. 이를 위해 새로운 기술과 풍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하지만 어려운 점이 많다. 가족이라는 특성상 성공한 앞 세대의 핵심 가치가 공유되고 영속될 가능성이 큰데, 이는 부적절하고 부정적인 면도 포함한다[8].
또한, 시장이 아닌 앞 세대와의 비교 또는 과거에 안주하며 기업 혁신에 소극적으로 변한다. 연구에서는 가족경영이 기업 연구 개발, 기술 혁신, 효율성 저하를 야기하고, 장기적인 기업 성과 및 가치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9].
중흥그룹 지분 구조도. 자료=인포스탁데일리, 금융감독원
◇ 인사 논란 해명 뒤따라야…상장사, 투명한 경영 위한 의무
특히, 설립자 1세대의 인사관리 스타일이 비공식적이고, 주관적인 경향이 강한데, 이러한 특성이 2-3세대 후손의 경영에도 적용되면 기업 성과가 저하되고 생존하기 어려웠다[3]. 해외 기업 세대연구에서 다음 세대로 경영이 변경된 기업의 1/3만이 살아남은 것으로 나타났다[10].
가족경영의 긍정적 측면들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들의 충족이 필요하다. 우선, 후손이 경영에 성공하기 위해서 앞선 세대와 다른 경영 방침을 설립하고,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객관적인 기업 운영 시스템을 시행해야 한다[7,11].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외부 전문성과 비즈니스 지식을 수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족 구성원과 후손은 기업 전문 경영인과 관리자들에 대한 조화롭고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 긴밀한 소통을 통한 의사결정을 진행해야 한다.
아울러 경영에 참여 혹은 관여된 가족 구성원 모두는 기업과 연결된 주요 커뮤니티와 직접 의사소통하고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12]. 커뮤니티는 정부 입법자 및 규제 기관부터 언론, 상품(원자재, 서비스 전반) 공급업체, 유통, 생산 또는 합작 투자 파트너, 고객 및 소비자, 직원 및 일반 대중까지 이해관계자 전반에 해당한다. 이해관계자들에게 가족경영의 부정적인 인식을 변화시킬 포지셔닝 및 커뮤니케이션을 직접 시행하고 인정을 받아야 한다.
선행연구들을 중흥그룹에 대입해 보면, 정창선 회장의 중흥건설 경영 스타일을 대우건설에 변화 없이 그대로 적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인사관리 측면에서, 정창선 회장 가족의 역량 검증과 인사 논란의 합리적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 일반 주주의 인정을 받아야하는 상장사는 지속가능하고 객관적이며 투명한 경영을 시행해야하기 때문이다.
중흥그룹이 인수한 대우건설을 가족경영 기업화하고 3세 승계하고자 한다면, 3세의 역량을 키우고 보여주는 작업과 더불어 기업 내외 지지 네트워크를 형성, 도움 받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
[1] Pindado, J., & Requejo, I. (2015). Family business performance from a governance perspective: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17(3), 279-311.
[2] Miller, D., & Le Breton-Miller, I. (2005). Managing for the long run: Lessons in competitive advantage from great family businesses. Harvard Business Press.
[3] Ghee, W. Y., Ibrahim, M. D., & Abdul-Halim, H. (2015). Family business succession planning: Unleashing the key factors of business performance. Asia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2).
[4] McConaughy, D. L., Matthews, C. H., & Fialko, A. S. (2001). Founding family controlled firms: Performance, risk, and value.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9(1), 31-49.
[5] Lee, J. (2006). Family firm performance: Further evidence. Family business review, 19(2), 103-114.
[6] McConaughy, D. L., Walker, M. C., Henderson Jr, G. V., & Mishra, C. S. (1998). Founding family controlled firms: Efficiency and value. Review of Financial economics, 7(1), 1-19.
[7] McConaughy, D. L., & Phillips, G. M. (1999). Founders versus descendants: The profitability, efficiency, growth characteristics and financing in large, public, founding‐family‐controlled firms. Family Business Review, 12(2), 123-131.
[8] Kidwell, R. E., Eddleston, K. A., & Kellermanns, F. W. (2018). Learning bad habits across generations: How negative imprints affect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family firm.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28(1), 5-17.
[9] Diéguez-Soto, J., Manzaneque, M., & Rojo-Ramírez, A. A. (2016). Technological innovation inputs, outputs, and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family involvement in management. Family Business Review, 29(3), 327-346.
[10] Ibrahim, A. B., Soufani, K., & Lam, J. (2001). A study of succession in a family firm. Family business review, 14(3), 245-258.
[11] Filbeck, G., & Lee, S. (2000). Financial management techniques in family businesses. Family Business Review, 13(3), 201-216.
[12] Morley, M. (1998). The family company and its stakehol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Management.
이정민 평판체크연구소장 infostock883@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