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도입 시에는 성장이 더뎠으나, 최근 들어 ‘오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탈탄소 관련 투자와 융자가 확산된 것과 금융기관들이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본은행은 지난 2021년 9월부터 기후변화 대응 투자와 대출에 자금을 공급하는 정책을 시작했다.
이 정책은 탈탄소를 위한 설비 투자 등에 참여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며, 일본은행이 금리 0.25%로 엔화 자금을 제공한다.
도입 초기 이용이 적어, 2022년 7월 대출 잔액은 3.6조엔, 2023년 7월 6.2조엔에 그쳤다. 그러나 올해 7월 대출 잔액은 11.9조엔으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시코쿠 은행과 아마가사키 신용은행 등 새로운 금융기관들의 참여로 대상 금융기관 수가 당초의 43개에서 83개로 늘어난 결과이다.
일본은행은 지난 3월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한 이후 지속적인 금리 인상을 시사해 왔다.
현재 기후변화 대응 투자금융 금리는 원칙적으로 연 고정금리이며, 대출 금리는 기존의 0%에서 지난 7월 정책 금리에 맞춰 0.25%로 인상됐다.
시장에서는 빠르면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이 예상되고 있다.
정책금리가 상승할 경우,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낮은 금리인 0.25%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일본은행의 기후변화 ‘오페’는 저금리 자금 조달 수단으로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투자와 대출이 확대되고 있지만, 글로벌 수준에서는 아직 뒤처져 있다.
세계 지속적 투자 연합(GSIA)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지속 가능한 투자액은 약 30.3조 달러였으며, 그 중 유럽이 46%, 미국이 28%, 일본이 14%를 차지했다.
일본 중앙은행의 정책 목적과 일관성이 문제시 된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일본은행은 정부와 협력해 탈탄소 대응 기반을 강화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