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여세린 기자] 수익성 악화에 직면한 국내 시중은행은 서울 강남 역세권 점포까지 문 닫으며 연이어 점포 폐쇄에 나서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점포 수는 2020년 4425개에서 지난해 3분기 3931개로, 3년 새 500개 가까이 줄어들었다.
소위 ‘잘 나가는’ 서울 강남권 점포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은행은 다음달 총 11곳의 점포 문을 닫는데, 서울 강남역, 양재역, 남부터미널 등 강남권의 주요 지점이 해당된다.
최근 국민은행은 서울역환전센터 등 세 지점의 문을 닫았고, 신한은행은 가락동과 구로역점 등 네 곳의 점포 문을 닫았다.
농협은행 역시 올 들어 서울 경동시장지점을 없애고 청량리지점과 합쳐 청량리금융센터로 통합했다.
신한은행 역시 올해 가락동, 구로역, 부천춘의, 부평 등 수도권 점포 네 곳을 없앴다.
저축은행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전국 저축은행의 점포 수는 280곳으로 분기별 집계가 시작된 2016년 9월(325곳)보다 13.8%가 줄었다. 점포 수로 보면 총 45곳의 점포가 사라졌다.
비대면 금융 거래가 자리잡으면서 내점객 감소에 따른 은행권의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은행 관계자는 “대출, 적금 등 비대면 거래가 확산되면서 내점객은 꾸준히 감소하는 상황”이라며 “수익대비 점포를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을 고려해 점포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고령층과 취약계층 등 금융소외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은 여전히 문제다.
앞서 금융당국은 ‘은행 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마련해 은행권의 점포 폐쇄를 막기 위한 압박을 지속해 왔다.
소외계층이 이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은행 점포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은행 점포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를 강화하고, 폐쇄 시 공동 점포 등 대체 수단을 의무적으로 마련하도록 했다.
이와 같은 정부의 엄포에도 지난해 초부터 3분기까지 문을 닫은 5대 시중은행 점포는 257개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