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선진국 중 두 번째로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한국의 최근 5년간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1.5%를 기록했다.
이는 홍콩(5.5%)에 이어 선진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국제결제은행(BIS) 집계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2%를 기록했다.
이는 스위스,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에 이어 주요국 중 5위에 해당한다.
이 비율은 2021년 3분기 말 99.2%로 최고치를 찍은 뒤 명목 GDP 증가에 힘입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최근 5년간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한국보다 높은 스위스(0.5%), 호주(-2.4%), 캐나다(-0.3%), 네덜란드(-4.1%) 등에 비해 한국이 월등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순위는 2012~2013년 43개국 중 15위였으나, 꾸준히 상승해 2022년에는 5위까지 올랐다.
연구소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의 가계부채 비율이 안정세를 보인 반면, 한국을 비롯한 중국, 태국, 홍콩은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반면 주택담보대출 관련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주택 구입 목적 가계대출 비중은 60.2%로, 글로벌 평균(66.8%)을 하회했다. 소득 대비 부동산 가격도 2015년 이후 8년 연속 하락해 세계 평균의 75.2% 수준을 기록했다.
전체 가계부채의 20% 가량을 차지하는 자영업자 대출은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다.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2022년 2분기 말 0.50%에서 올해 2분기 말 1.56%로 급등했다.
같은 기간 일반 가계대출 연체율이 0.56%에서 0.94%로 소폭 상승한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취약 자영업자의 대출 연체율은 10.2%까지 치솟았다.
연구소는 "취약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전체 가계대출 중 취약 차주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한국 가계부채의 연착륙을 위해서는 주택시장 안정화와 함께 자영업자의 소득 및 생산성 제고가 필수적"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