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한국경제법학회·서울대학교 한국경제혁신센터·두나무는 서울 여의도 콘래드서울에서 ‘DCON 2023: 건전한 시장 조성을 위한 디지털자산 컨퍼런스’를 공동 주최했다. 행사에는 △이상승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김병언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이 참석했다.
이날 발표는 △가상자산 시장의 거래 특성과 시장 획정 △디지털자산 초기 거래소 공개(IEO)에 관한 합리적인 규제 연구 △토큰증권 발행(STO)·유통 제도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을 주제로 진행됐다. 첫 번째 발표를 맡은 이 교수는 암호화폐 시장 점유율만을 반영한 제도화를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점유율 말고도 거래소가 해외의 경쟁 압력에 노출됐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며 “점유율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독과점을 억제하는 방향으로만) 정책을 수립하면 기업 경쟁력을 훼손하고 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IEO 규제와 관련한 두 번째 발표에서 김 교수는 디지털자산거래소협의체(DAXA·닥사)를 중심으로 한 암호화폐 거래소의 자율규제가 적절히 작동되는 것을 전제로 IEO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IEO를 진행하는 거래소가 프로젝트를 제대로 관리하면서 거래 안정성 제고가 가능하다”며 “자율규제가 깨지는 것에 대해선 공적규제를 적용하며 자율규제와 공적규제의 조화를 이룰 때 시장이 건전하게 발전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발표를 맡은 김 연구위원은 토큰증권 제도화 시 블록체인의 기술을 수용하는 한편 유통 체계는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는 “토큰증권의 혁신성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저비용·맞춤형 증권의 발행과 비정형적 권리 유통”이라며 “토큰증권의 장점과 투자자 보호 문제의 균형을 맞춰 제도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를 공동 주최한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IEO 허용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IEO 법제화는) 정부가 추진 의지를 밝혔지만 그동안 깊이 있게 논의되지 못했다”며 “국경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거래돼 기존 시장과 구별되는 디지털자산의 특성을 반영해 기존과 다른 시각으로 디지털자산 시장을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정우 기자 woo@decenter.kr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