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귀농·귀촌인의 농촌사회 정착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귀농·귀촌인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를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함께 실시해 종합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14년 귀농·귀촌인 1,039명 동의를 받아 변화 추이를 5년 동안 지속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조사결과, 귀농·귀촌 후 정착기간이 길수록 지역사회활동에 적극 참여했으며, 35.5%는 마을리더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50세 이하가 37.9%로 기존 농업인들보다 상대적으로 젊고, 다양한 분야에서 학위나 자격증을 보유(59.7%)하고 있었다.귀농 동기로는 40세 이하에서는 생태적 가치, 공동체 등을 추구하는 대안가치형이 많았고, 41세 이상에서는 은퇴?전원형이 다수였다.최근에 귀농·귀촌했을수록 준비기간이 길고 준비 교육도 많이 이수했다.농사를 시작할 때 농지를 구입한 경우가 41.4%, 임차한 경우가 26.2%였으며, 1년 안에 54.9%가 농지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정착 과정의 어려움에 대해 귀농?귀촌인들은 여유자금 부족(46.9%), 영농기술 습득(27.1%), 생활불편(25.1%), 농지 구입(25.0%) 순으로 답했다. 정착기간이 길어지면서 농업과 다른 경제활동을 병행하는 겸업 비중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었다. 농산물 가공, 관광?체험, 숙박?식당 등으로 경제활동 범위를 넓히면서 소득을 높여가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착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귀농?귀촌인들 스스로 '성공적인 편'이라는 평가가 증가(14년 46.2%→18년 58.1%)했다.한편 조사기간 중 89명(8.6%)이 도시로 이주하였으며, 요인은 영농실패(18명), 일자리(5명), 건강(5명), 자녀교육(5명) 등이었다.농촌진흥청 관계자는 "귀농·귀촌인들이 정착 후 마을리더로 활동하는 등 농촌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