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지난주 리뷰
주간단위 코스피 2.44%상승. 코스닥 1.76%상승
Bad is Good 로직(경기침체 우려->긴축속도 조절 기대)+호실적에 반응
코스피 5거래일 연속 상승(21년 12월 이래 처음)
7월 다우+6.7%, S&P +9.1%(20년 11월 이후 월간 최대). 나스닥 +12.4%(20년 4월 이래 월간 최대)
FOMC 75bp 금리인상 결정 후 불확실성 해소되며 상승폭 확대(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 언급)
IMF, 한국 경제성장율 0.8% 하향 조정. 미국 2분기 GDP증가율 -0.9%(1분기 -1.6% 2개분기 연속 역성장)
미국 반도체 지원법,친환경 인프라 투자법안 합의로 반도체,신재생 에너지 업종이 상승 주도.
실적발표 결과에 따른 극심한 차별화(아마존 (NASDAQ:AMZN),애플 (NASDAQ:AAPL),넷플릭스 급등VS인텔,메타,스냅 급락)
2.금주 예상 및 투자아이디어
지수 상승탄력은 둔화 예상 but 실적시즌 결과에 따른 종목장세 지속 가능
긴축 정점 통과 기대 유효 VS 인플레 자극요인은 여전(올 겨울 유럽 천연가스 급등 우려)
옐런 미국 재무장관, 2개분기 GDP역성장에도 경기침체 부인(고용,가계 소득 등 지표 선방)
한미 금리역전에도 환율 약세 완화되며 외국인 유입 긍정적
업종내에서도 실적발표 결과에 따른 차별화 양상 지속(개별종목 실적에 집중)
8월 1일(월):미국 7월 ISM 제조업, 한국 7월 수출입
8월 2일(화):한국 7월 소비자물가
8월 5일(금):미국 7월 고용보고서
3.신규활용 가능 종목군
신재생에너지 대전환으로 전력기기 시장 호황 초입 국면
전기차 확산과 신재생에너지(태양광 등) 전환으로 글로벌 송배전망 인프라투자 확대 전망
바이든 인프라투자 예산 집행이 국내기업들 수주 급증으로 연결
수주 후 매출 인식에 3~4개 분기 리드타임. 원자재 가격 인상은 판가에 전가한 상태.
작년말~올해 상반기 수주물량은 하반기에 납품예정. 하반기 원자재 가격 안정시 수익성 개선 가능
관련주
현대일렉트릭 (KS:267260)
상반기 수주 지난해 대비 82%증가. 작년 연간 수주 89%를 이미 달성
수주잔고 전년동기 대비 52%증가
LS Electric (KS:010120)
전력부문 매출 분기 사상최대 기록. 수주잔고 1.5조(전년동기 대비 76%증가)
신재생(스마트그리드,태양광),유럽발 에너지 위기 지속으로 역대 최고 수주 경신 예상
제룡전기 (KQ:033100):변압기 제작. 미국향 수주 급증 중. 변압기내 전기강판 수급부족 수혜(포스코강판 수급 원활)
미국내 전기강판쇼티지 최소 24년까지 장기화 전망.
해외매출 비중 17년~19년 5%내외->21년 해외매출 비중 26.6%. 22,23년 매출,영익 최대치 경신예상.
- 엑스원의 'MC게보린'은 개인투자자들 편에 서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