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15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나스닥 100 지수는 지난 12개월 사이 약 43.6% 상승해 사상 최고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 S&P 500 지수의 상승폭은 각각 6.4%와 16.4%에 그쳤다.
상승론자들은 테크주 강세가 2021년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으나, 많은 투자자들이 테크 섹터가 지금처럼 높은 프리미엄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있다. 2020년에 확인된 디지털화 추세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테크 섹터는 견실한 성장 전망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당수의 애널리스트들은 현재의 높은 가치 평가가 정당한 수준이라는 의견에 동의하는 입장이다.
월스트리트의 사랑을 받는 테크 기업들이 앞으로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시장은 언제든 일시적인 하락세나 대규모 조정을 겪을 수 있다. 하지만 테크 섹터가 새로운 10년을 맞이해 크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에는 변화가 없다.
다양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 ETF 2종목을 소개한다.
1.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
-
현재 가격: $36.46
-
52주 가격 범위: $14.77 - $36.46
-
비용지급비율: 연 0.68%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 (NASDAQ:BOTZ)는 로봇 공학과 인공지능 도입이 확대될수록 수혜를 보는 각종 사업에 대한 노출도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기업이 산업적 로봇 공학과 자동화, 산업 이외 분야의 로봇, 그리고 자동주행차량과 연관되어 있다.
최근 데이터에 의하면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 규모는 2019년을 기준으로 399억 달러에 달하며, 2020년에서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42.2%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성장세에는 제조업과 소매, 전자상거래, 금융, 그리고 헬스케어 등 다양한 섹터의 디지털화 추세와 전기차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봉쇄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생산 라인 자동화가 가속화되고 제조업용 로봇 사용이 확대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보유 종목은 32개 종목으로 INDXX Global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Thematic 지수를 추종한다. 2016년 9월부터 거래를 개시했으며 총 자산은 27억 5,000만 달러다.
가장 비중이 높은 섹터는 산업(43.1%) 섹터다. IT(41.2%)와 헬스케어(12.2%)가 그 뒤를 잇는다. 국가별로는 일본 기업(34.1%)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미국(36.1%)과 스위스(11.9%), 그리고 영국(5.3%) 기업들이 뒤를 따른다. 미국 외의 국가에 대한 노출도도 상당 수준 확보할 수 있는 셈이다.
상위 10개 종목이 전체 자산의 60%를 차지한다. 개중에서도 비중이 높은 5개 종목으로는 반도체 칩 대기업 엔비디아(NVIDIA, NASDAQ:NVDA)와 자동화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는 일본의 화낙(Fanuc, OTC:FANUY), 수술용 로봇 업체 인튜이티브 서지컬(Intuitive Surgical, NASDAQ:ISRG), 자동화 기술 전문 업체인 ABB(NYSE:ABB)와 공장 자동화 설비 생산업체 키엔스(Keyence, OTC:KYCCF)가 있다.
BOTZ는 지난 1년간 약 60% 상승했으며 2월 12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매수 뒤 보유 투자자들이라면 단기적 이익 실현이 일어나 가격이 $35 이하로 하락할 경우 저가 매수를 고려할 만하다.
2. Amplify Transformational Data ETF
-
현재 가격: $54.48
-
52주 가격 범위: $13.04 - $54.75
-
배당수익률: 1.21%
-
비용지급비율: 0.70% per year
Amplify Transformational Data Sharing ETF(NYSE:BLOK)는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 및 활용하는 기업에 대한 노출도를 제공한다. 2018년 1월에 거래를 개시했으며 현재 총 자산은 약 10억 달러다.
블록체인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비트코인이나 도지코인, 이더리움, 그리고 리플 등의 암호화폐일 것이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것이지만 블록체인에는 그 외에도 다양한 용도가 있다.
블록체인이란 변조가 불가능한 디지털 원장이다. 탈중앙화와 투명성, 익명화 등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데이터는 글로벌 서버에 저장되며, 사실상 실시간으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농업과 금융, 클라우드 컴퓨팅, 디지털 인프라, 교육, 엔터테인먼트, 보험, 헬스케어, 부동산, 그리고 소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섹터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최근 데이터에서는 그 추세를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다:
"2018년 15억 달러를 기록했던 블록체인 솔루션 지출은 2023년 159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BLOK은 54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능동적으로 운영되는 펀드다. 가장 비중이 높은 분야는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41.3%)와 복합금융(17.0%),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11.3%), 소매(8.6%), 그리고 은행(6.0%)이다. 상위 10개 종목이 4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다수가 북미(56.8%)와 아태지역(36.8%)의 기업이다.
상위 종목으로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마이크로스트레티지(MicroStrategy, NASDAQ:MSTR)와 디지털 자산 은행인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TSX:GLXY), 비트코인 채굴업체 라이엇 블록체인(Riot Blockchain, NASDAQ:RIOT), 특허관리 전문기업 마라톤 페이턴트(Marathon Patent, NASDAQ:MARA), 그리고 슈퍼컴퓨팅 솔루션 제공업체 카난(Canaan, NASDAQ:CAN) 등이 있다.
BLOK은 지난 1년 사이 171% 이상 상승했으며 BOTZ와 마찬가지로 2월 12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암호화폐와 같은 높은 변동성에 시달리지 않으면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사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BLOK을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장기 투자자들은 $50대에서 유리한 진입가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번역: 임예지/Investing.com Korea
인베스팅닷컴 & https://kr.investi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