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정다희 기자] 대표 플랫폼주 네이버와 카카오가 정치권의 플랫폼 규제 소식 에 몸살을 앓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직접적인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규제 확산 공포감에 따른 단기 악재일뿐 중장기적인 성장성이 부각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출처=뉴시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각각 2.56%, 7.22% 하락한 39만9,000원, 12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주가가 크게 하락하면서 이들 종목의 시가총액은 지난 이틀 새 18조원 가량 증발했다. 금융당국이 네이버파이낸셜과 카카오페이 등 온라인 금융플랫폼의 상품 비교·추천 서비스를 단순 광고 대행이 아닌 투자 중개행위라고 판단해 시정조치를 요구한 데다, 여당인 더불어 민주당의 몇몇 의원이 카카오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내놓으면서 규제 리스크가 불거진 탓이다.
지난 7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송갑석·이동주 의원실 주최로 열린 ‘공룡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 플랫폼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근절 대책 토론회’에서 “혁신 기업을 자부하는 카카오가 공정과 상생을 무시하고 이윤만을 추구했던 과거 대기업들의 모습을 그대로 따라가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윤호중 원내대표 또한 “입점 업체에 대한 지위 남용과 골목 시장 진출, 서비스 가격 인상 시도까지 카카오의 행보 하나 하나가 큰 우려를 낳고 있다”며 “민주당은 이러한 상황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했다.
지난해 중국 당국이 알리바바의 자회사 앤트그룹의 금융 플랫폼 확장을 규제하면서 주가가 크게 하락한 것을 목격한 영향도 있다. 이들 종목이 향후 규제 영향권 아래 들어설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심리는 크게 악화됐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우려가 과도하다고 보고 있다. 단기적으론 악재일 순 있으나 규제리스크의 시작점이라고 보긴 어렵고 이들 기업의 성장 또한 추세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이란 설명이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네이버, 카카오의) 주가 급락은 금융사업 규제를 시작으로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전방위 규제가 확산할 것이란 우려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 가운데 차익매물이 확대되며 낙폭을 키운 것”이라고 봤다.
이어 “금융 규제 우려의 핵심은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를 통한 증권, 보험, 대출에 대한 상품가입 및 주선 행위를 단순 광고로 보지 않고 실질적인 중개행위로 판단하겠다는 것”이라면서 “각각의 금융상품에 대해 중개업 인허가를 받은 경우에 한해 이를 명확하게 금융소비자에 고지한 상태에서 사업을 영위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네이버와 카카오에 대한 규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봤다. 그는 “네이버페이를 운영하는 네이버파이낸셜은 영업수익의 95%이상이 간편결제로 증권 및 보험 상품의 중개행위에 대한 규제 영향권 밖에 있다고 판단된다”면서 “카카오페이의 경우도 금소법 준수를 위해 증권, 보험, 대출 중개에 관한 인허가를 이미 획득한 상태로 파악된다. 플랫폼 상 금융소비자가 명확히 인지하도록 UI(사용자환경)/UX(사용자경험)를 개편하고 고치면 사업을 영위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동희 메리츠증권 연구원 또한 “규제리스크의 시작으로 보기는 지나친 우려"라고 짚었다. 알파벳, 페이스북 (NASDAQ:FB),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 역시 규제 논의가 이어지고 있으나 주가는 연초 대비 30~60% 상승하는 등 성장에 따른 재평가가 지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빅테크 규제를 강화하자는 논의는 단기적으로 규제 관련 불확실성을 높여 기업가치에 부정적일 수 있으나 빅테크 기업들의 매출 성장성과 영업 레버리지 강화 추세는 막기 어렵다고 판단한다”면서 “특히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 기업들은 하나의 서비스만 제공하는 단순 플레이어가 아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하나의 앱으로 제공하는 슈퍼앱으로 성장하고 있어 외부 변화에 따른 영향이 더 제한적이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