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중국 베이징공장 생산 라인 / 사진=현대자동차그룹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새 국면을 맞게 됐다. 지역 노동계가 협상 권한을 광주광역시로 넘기기로 했기 때문이다. 노동계의 무리한 요구에 난항을 겪던 상황에서 사업이 극적인 타협점을 찾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주력이 된 지역 노동계는 현대자동차 공장 투자협상 전권을 광주시에 위임했다. 협상단은 이견을 좁히지 못했던 기존 협약서와 관계없이 새 합의안을 현대차와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광주 노동계가 돌연 태도를 바꾼 이유는 사업 자체가 무산될 우려 때문이란 해석이 많다. 그동안 지역 노동계는 주 40시간 근로와 초과근로수당 지급, 성과급 등을 요구해왔다. 또 5년간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을 유예한다는 기존 조항까지 거부해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현대차는 당초 기존 계획인 주 44시간 근로, 연 3500만원 지급이 사실상 없던 일이 되자 난색을 보여왔다. 순탄할 것 같았던 사업이 8개월 넘게 꼬여버린 이유다.
여기에 정치권이 광주형 일자리 협상 타결을 강하게 압박하면서 지역 노동계가 한 발 물러난 것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은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사업을 ‘공모제’로 전환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 밖에 정부 의지가 강한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는다는 비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광주 노동계의 이번 결정으로 바쁠 것 없던 현대차는 주도권을 잡은 상황에서 협상 테이블에 마주앉게 됐다. 국내 완성차 공장이 ‘고임금·저효율’ 구조 탓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임금 수준을 놓고 제 목소리를 낼 수 있어서다.
현대차는 미국과 중국 시장 판매 부진 등에 지난 3분기(7~9월) ‘어닝 쇼크’ 수준의 실적을 냈다. 영업이익은 2889억원에 그쳐 국제회계기준(IFRS)이 적용된 2010년 이후 가장 낮았다.
글로벌 생산 능력이 900만 대(기아차 포함)를 넘어선 상황에서 지난해 생산량은 722만 대 수준에 그쳤다. 적정 임금 지급이 약속되지 않을 경우 굳이 공장 설립을 강행할 필요가 없다.
반면 먼저 사업을 제안한 광주시는 국회 예산 마감 시한인 다음달 2일까지 반드시 매듭지어야 해 시간이 매우 촉박해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평행선을 달리던 협상 논의가 가닥이 잡힐 것”이라며 “무리한 요구를 해온 노동계가 빠진 만큼 근로자 연봉 3500만원 수준의 완성차 공장을 세워 일자리를 창출해보자는 기본 뜻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어 “입장이 난처한 건 광주시와 노동계”라며 “자칫 사업이 무산되거나 다른 지역으로 넘어갈 공산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감 감소를 우려한 현대차 노동조합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점은 타협의 최대 걸림돌이다. 노조 측은 경차급 차량을 만들 계획인 광주형 일자리가 사업성이 전혀 없는 데다 국내 공장의 물량을 일부 줄여야 하는 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현대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 협약 시 언제든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며 “투자협약 철회만이 모든 갈등 상황을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이어 “기아자동차 모닝 등 경차 생산을 위탁받은 동희오토는 연 23만 대 생산 규모에 1448명이 근무 중”이라며 “광주 완성차 공장에 많은 인원을 고용하는 건 과도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광주 완성차 공장은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연 10만 대 생산할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시 측은 직·간접 고용 인원이 1만2000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
'광주형 일자리' 공장 신설보다 기존임금 조정이 먼저
'광주형 일자리 타결' 정치권 압박 커지자…노동계, 광주시에 협상 전권 위임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상 기로…막판 돌파구 찾을까
확 바뀐 제네시스 'G90' 6700대 계약…판매실적 회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