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김민수 기자]
◇ 소비자물가 6개월 만에 2%대 둔화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13.1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 올랐다. 이로써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개월 만에 2%대로 내려서며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 최상목 “2∼3월 물가 3% 내외 상승 가능성”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중동지역 불안 등으로 2∼3월 물가가 다시 3% 내외로 상승할 수 있다”며 “2%대 물가가 조속하고 확실하게 안착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 은행 희망퇴직 1년 새 16% 급감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상반기 희망퇴직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2222명보다 16% 가까이 줄어든 1868명으로 집계됐다. 희망퇴직자 감소 이유는 희망퇴직 조건이 나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3%대 정기예금에 13조원 몰려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이 전월 대비 13조 3228억원 늘어난 849조 2957억원에 달했다. 정기예금 금리가 빠르게 떨어지자 조금이라도 높은 금리를 받으려는 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
◇ 지역가입자 건보료 월평균 2.5만원 인하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개정안 시행에 따라 이르면 2월부터 부과되는 지역가입자 333만세대의 건강보험료가 월평균 2만 5000원가량 줄어든다. 또 지역가입자의 자동차에 매기는 보험료도 폐지된다.
◇ 코스피, 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2600선 돌파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72.85포인트(2.87%) 오른 2615.31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94포인트(0.67%) 상승한 2559.40에 개장해 상승 폭을 확대했다.
◇ 정부 “농축산물 할인 예산 100억 추가 배정”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설 직전주인 1일부터 8일까지 농축산물 할인지원 예산을 100억원 추가 배정해 정부할인율을 최대 40%까지 상향한다. 유통업계에 사과‧배에 대한 자체 할인 확대도 요청했다.
◇ 2027년 세계 한식산업 300조원 규모로 키운다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세계 한식산업 규모를 300조원 수준까지 키우고 해외 한식당을 1만 5000곳까지 늘리기로 했다. 지난해 31곳이었던 미쉐린 스타급 ‘우수 한식당’도 2027년 100곳까지 확대한다.
◇ 수도권 10곳 중 7곳 1순위 청약 마감 실패
지난해 분양한 수도권 아파트는 모두 126개 단지로 이 가운데 73%에 해당하는 92개 단지에서 1순위 청약이 미달됐다. 특히 서울에서도 11개 단지가 1순위 청약 마감에 실패했다.
◇ 정부, 규제 풀어 수소충전소 늘린다
정부가 수소차 보급의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는 수소충전소 확대를 위해 규제를 완화하는 등 수소 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혁신과 정비에 속도를 내 수소충전소를 2030년 458개로 늘리기로 했다.
◇ 난임부부 체외수정시술 건강보험 급여 20회로 확대
이달부터 난임 부부의 체외수정 시술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적용 횟수가 20회로 확대됐다. 시술 시 배아 종류를 구분해 지원했던 칸막이도 폐지했다. 인공수정 건보 급여는 기존대로 5회 적용된다.
◇ KAI, 작년 매출 3조8천억원 ‘역대 최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지난해 매출이 작년 KF-21 사업 순항과 경공격기 FA-50의 폴란드 수출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37% 증가한 3조 819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매출이다.
◇ 네이버 (KS:035420) 작년 연간 매출·영업이익 역대 최대
네이버의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대비 17.6%, 14.1% 증가해 9조 6706억원, 1조 488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이며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역시 역대 최대치였다.
◇ “연준 ‘정치개입’ 우려로 상반기에 금리인하 시작할 듯”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금리 인하를 오래 끌어 정치에 개입한다는 비난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며 올해 상반기에는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 尹대통령, 내주 김관진 설 특별사면 유력
윤석열 대통령이 내주 설 명절 연휴를 앞두고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 등에 대한 특별사면을 유력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사는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