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한이헌 전 국회의원이 저축은행중앙회장 최종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금융협회장 연봉이 화제가 됐다. 면접을 진행한 회장후보추천위원이 회장의 연봉을 삭감하겠다는 각서에 사인을 하라고 했다는 사실을 폭로했기 때문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 금융투자, 여신금융, 생명보험, 손해보험, 저축은행 등 금융권에는 6명의 협회장이 있다. 이들은 각 금융권의 발전을 위해 회원사를 대표해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금융당국 또는 국회, 시민단체 등과 회원사 간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가교' 역할도 한다.
이들의 연봉이 과도하게 많다는 인식은 하는 일이 별로 없다는 데서 출발한다. 특히 퇴직한 고위 관료들이 '낙하산'으로 내려와 '얼굴 마담'만 한다는 인식이다.
A금융사 관계자는 "역대 정권이 정권 창출에 기여한 이들에게 '보은' 차원에서 나눠준 자리 아니었냐"며 "수억원을 받는다니 부러울 뿐"이라고 말했다.
반면 적정하다는 의견도 있다. B금융사 관계자는 "협회는 회원사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다. 회원사들은 십시일반 회비를 모아 대관업무를 효과적으로 하고자 한다"며 "얼핏보면 협회장의 연봉이 많아 보이지만, 회원사는 쓸 비용 일부를 지출하는 거다. 금융사 CEO들과 비교해도 과다한 수준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상반기 금융권별 CEO들의 최고 보수(상여 포함)는 10억~20억원 수준이었다. 박진회 한국씨티은행장 15억9100만원,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 20억2754만원, 정태영 현대카드·커머셜 부회장 22억5100만원, 정몽윤 현대해상 회장 15억7800만원 등이었다.
저축은행 CEO 가운데 5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는 이는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럼에도 저축은행중앙회장 연봉이 5억원으로 오른 건 차관급 인물을 영입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아무도 저축은행중앙회장을 맡으려하지 않자 고위 경제관료 출신 인사를 영입하기 위해 3억5000만원에서 현 수준으로 연봉을 인상했다. 일종의 시장 논리가 반영된 셈이다.
한 금융협회 관계자는 "협회는 소비자 보호, 정책 수립 등 개별사들이 대응하기 어려운 이슈를 대표해 담당하기 때문에 일이 적지 않다"며 "협회장 연봉도 회원사들이 결정하는 구조라 무조건 인상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금융협회장의) 연봉은 최근 수년간 동결됐다"고 덧붙였다.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