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보유주식은 지난 1952년 미쓰비시 지소의 전신 기업이 시세사의 주식을 대량 매입한 것을 계기로 시작되어 이후 1960년대 해외 기업의 인수 방어책으로 확산됐다.
하지만, 최근 30년간 그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2일 도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2023년 상장기업의 정책보유주식 비율은 30.8%로, 1990년(69.8%)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반면 외국 법인의 주식 보유 비율은 31.8%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닛케이와의 인터뷰에서 한 경제 전문가는"정책보유주식은 기업 지배구조를 왜곡시키고 자본 효율성을 저하시킨다는 비판을 받아왔다"며 "이는 일본 기업의 낮은 자본수익률(ROE)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어 왔다"고 말했다.
최근 들어 일본 기업들의 인식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도쿄증권거래소가 2023년 3월 자본비용과 주가를 고려한 경영을 요청한 이후, 많은 기업들이 축적된 자본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주요 기업들의 향후 3년간 자금 배분 계획을 살펴보면, 전체의 약 80%를 투자에 할당하고 있어 성장에 대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정책보유주식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투자나 주주 환원에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확산되고 있다.
도요타 자동차와 메가뱅크 등 대기업들도 정책보유주식 재검토에 나섰다.
한 손해보험 대기업은 2030년경까지 정책보유주식을 완전히 해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닛케이의 의하면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현재 60조 엔대로 추정되는 정책보유주식 잔액이 향후 4~5년 내에 현재의 10~20%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 말했다.
이런 변화에 힘입어 닛케이 평균주가는 올해 최고치를 경신하며 4만 엔대를 넘어서기도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더욱 과감한 개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