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4년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 금융기관과 연구소, 대학, 해외 투자은행(IB) 전문가 78명 중 26.9%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상환부담 증가'를 금융시스템 위기의 최우선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는 20.5%로 2위를 차지했다.
복수응답(5가지 요인) 분석 결과, 대내 위험 요인으로는 가계부채 문제(61.5%)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내수회복 지연에 따른 국내 경기 부진(51.3%),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39.7%) 순이었다.
대외 요인에서는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56.4%)와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전략 등 주요국 자국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39.7%)가 주요 위험으로 지적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8일까지 진행됐다. 지난 서베이와 비교하면 가계부채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신규 리스크로 진입해 금융시장의 상황 인식이 크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발생 시기별로 위험 요인을 구분했다. 단기(1년 이내)로는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 국내 경기 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를, 중기(1∼3년)로는 가계부채, 인구구조 변화, 자국우선주의 정책을 주요 위험으로 분석했다.
특히 가계부채는 금융시스템에 미칠 파장은 크지만 실제 발생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인구구조 변화와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는 발생 가능성과 영향력이 모두 높은 요인으로 지목됐다.
금융 전문가들은 금융안정성 강화를 위해 필욯나 정책으로 가계부채 디레버리징, 부동산 PF·한계기업 구조조정, 거시건전성 관리 강화 등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