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국내 개인투자자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S&P500'을 1444억6434만원어치 순매수했다. 이 ETF는 미국 대표지수인 S&P500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대선 이후 미국 증시가 우상향할 것으로 전망하는 투자자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도 개인투자자들은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미국S&P500' ETF와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S&P500(H)'와 각각 248억4888만원, 79억2844만원어치 어치 순매수했다.
역사적으로 S&P500지수는 2000년 닷컴버블, 2008년 금융위기 때를 제외하고 대선 직전에는 정체되다가 대선 직후 완만하게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2020년 11월3일 치러진 미 대선 직전 한 달간 S&P500지수는 1.15% 하락했으나 대선 직후 한 달간 8.82% 올랐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선 결과가 글로벌 금융시장의 중기 추세를 바꾸진 않는다"며 "결과와 상관없이 불확실성 해소라는 측면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정상화 국면이 예상되며 과거와 비슷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 대표지수는 상승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원전 역시 수혜주로 꼽힌다. AI(인공지능)산업의 발전으로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미 대선과 관계없이 원자력이 대안으로 떠오르면서다.
모건스탠리는 2027년 생성형 AI가 전 세계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미국의 전력 소비량도 데이터센터 수요 등을 감안하면 2022년에서 2026년까지 30%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외에도 미국에선 전력 부족 현상을 장기화시킬 요인이 많다. 2022년부터 리쇼어링 정책으로 타국의 생산시설이 미국으로 이전했기 때문이다. 거기다 노후화된 석탄·천연가스 발전소의 생산 능력이 떨어지면서 전력 공급이 부족해지기도 한다.
국내에 상장된 원자력 ETF는 국내주식형과 해외주식형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해외주식형은 전력 수요 급증으로 인한 원자력 기업의 실적 개선이 주요 주가 모멘텀이라면 국내주식형은 원전 수주 뉴스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는 측면이 있다.
NH아문디자산운용의 'HANARO원자력iSelect'는 국내주식형 원자력 ETF로 두산에너빌리티의 비중은 15%, 효성중공업은 8%다. 이외에 전력인프라 관련 기업인 HD현대일렉트릭은 17%, 한국전력은 16%를 담았다.
KB자산운용의 'RISE 글로벌원자력 ETF'는 국내·해외 종목을 모두 담은 상품이다. 원자력 관련 산업에 속하며 시장 지배력과 경쟁력을 기반으로 종목을 선별했다. 구성 종목은 컨스텔레이션에너지(CEG)와 두산에너빌리티, HD일렉트릭 등으로 이뤄져 있다.
신한자산운용의 'SOL 미국AI전력인프라'는 콘스텔레이션에너지(CEG), 버티브홀딩스(VRT), NEE(넥스트에라 에너지), GEV(GE 버노바) 등 원자력 비중이 높은 상품으로 구성돼있다. 지난달 말 기준 3개월 수익률은 36.56%로 국내 상장 ETF 중 가장 높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신재생에너지는 기후 영향으로 전력 공급이 불안정하지만, 원전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며 "특히 '미니 원전'으로 불리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 대한 관심도 커지는 가운데 SMR은 크기가 작아 데이터센터 인근에 들어서기 적합해 송전망 설치 부담이 적다는 게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두 대선 후보 모두 안보 강화를 공약으로 내걸면서 방산 업종에 거는 기대도 크다. 미국이 국방력은 세계 1위지만 제조업 기반은 부족해 가격 대비 성능이 높은 무기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국내 방산 기업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
국내 대표적 방산 ETF는 한화자산운용의 'PLUS K방산'이 꼽힌다. 이 상품은 올해 들어 60.39%, 최근 3개월간 10.61% 상승했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다만 지나치게 오른 주가는 부담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지난달 말 상장한 'TIGER 미국방산TOP 10'에도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상품은 미국 방산주 10개에 집중투자하는 상품이다. 가장 많이 담은 종목은 3분기에만 25% 넘게 오른 록히드마틴(23.1%)이다.
김민수 미래에셋자산운용 FICC운용본부 매니저는 "미국의 국방 정책은 대부분 공화당·민주당 양당의 초당적 합의에 기반해 왔기 때문에 방산 섹터는 전통적으로 특정 후보의 당선 여부와 관계없이 대선 수혜를 받는 섹터로 꼽혀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