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이복현 원장은 다음달 공매도 일부 재개를 시사했으나 대통령실에서 "그건 금감원장 개인의 희망 사항"이라고 하면서 공매도 정책 관련 엇박자 논란이 불거졌다.
27일 이복현 원장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 집중에 출연해 "개인적인 욕심이라는 게 사적 욕심은 아닌데 어떻게 세상이 다 욕심대로만 살겠냐"며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해외투자자들이 (공매도 재개 관련)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스케줄을 줘야 하는 게 아니냐고 하자 다음달 중 일부 재개를 이야기하게 된 것인지' 확인하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 원장은 "다양한 이해관계가 존재하고 이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소통이 필요한데 그 지점에 있어서는 공매도에 대해 어느 정도의 타이밍에 어떻게 재개할지 논의는 필요하다고 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측한 투자 방법이다. 먼저 빌린 주식을 팔고 예상대로 주가가 내려가면 해당 주식을 다시 사서 갚은 뒤 매매차익을 얻는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10월 공매도를 금지한 기한이 오는 6월 만료되는 상황에서 이 원장이 나서서 공매도 재개를 시사한 것이다.
공매도는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조건 중 하나다. MSCI 지수는 글로벌 펀드가 추종하는 가장 큰 규모의 벤치마크로 우리나라는 신흥국 지수에 포함됐다.
금감원이 추진하는 불법 공매도 방지 전산 시스템은 ▲공매도 주문자인 기관투자가 ▲공매도 주문받는 증권사 ▲거래를 체결·관리하는 한국거래소 등이 각각 전산화 체계를 마련하는 게 골자다. 기관투자가는 자체 전산 시스템으로 무차입 공매도 주문이 나갈 수 없도록 사전 차단하고, 한국거래소는 신설하는 불법공매도중앙차단시스템(NSDS)으로 무차입 공매도 여부를 재차 점검한다.
이 원장은 "개인적인 욕심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6월 중 빠른 시간 내 일부 재개하는 게 좋겠고 재개가 어렵다면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언제 어떤 조건으로 어떤 방식으로 어떤 계획하에 할 수 있는지 적어도 향후 흐름에 대해서는 설명하는 게 좋겠다고 설명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공매도 방지를 위한 시스템 마련이 공매도 재개 내지는 일부 재개와 연계됐다는 점에 대해 당연히 저희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대통령께서 여러 번 말씀하시고 금융위원장이나 저도 여러 번 말씀드린 것처럼 공매도 전산시스템 마련과 마련 이후 재개 방침에 대해서는 변한 건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