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국내 기업 절반 가량이 재택근무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계속 시행하겠다는 기업이 많아 상시적 근무 방식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고용노동부는 코로나19를 계기로 크게 확대된 재택근무 실시현황에 대해 기업 인사담당자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재택근무 활용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5인 이상 사업장의 인사담당자 400명과 근로자 878명을 대상으로 8월 한달간 이뤄졌다.
재택근무 운영 여부 [자료=고용노동부] 2020.09.24 jsh@newspim.com |
기업 규모별로는 10~29인 기업의 43.9%, 30~99인 기업의 42.7%, 100~299인 기업의 54.0%, 300인 이상 기업의 51.5%가 실시한 것으로 나타나 기업별 편차는 크지 않았다. 기업 유형별로도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를 운영한다는 응답이 높은 업종은 금융 및 보험업(66.7%),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66.7%), 교육서비스업(62.5%), 정보통신업(61.5%) 등이다. 재택근무를 운영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숙박 및 음식점업(85.7%), 제조업(66.0%), 도매 및 소매업(63.8%) 순이다.
재택근무 도입 사업장의 근로자 활용 비율은 10% 미만이 40.0%로 가장 높았다. 반면, 50% 이상 활용한다는 사업장 비율도 28.7%에 이른다. 특정 직무나 근로자 등 범위를 한정해 재택근무를 허용하는 경우가 53.3%로 제한을 두지 않는 46.7%보다 높게 나타났다.
재택근무를 운영하지 않는 이유로는 인사노무관리의 어려움이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사업주 또는 경영진의 반대 35.1%, 인프라 구축 등 비용 부담 34.2% 순이다.
특히 기업 인사담당자 상당수가 재택근무 시행 후 업무효율이 높아졌다고 응답해 재택근무 활용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재택근무로 인한 업무 효율성 [자료=고용노동부] 2020.09.24 jsh@newspim.com |
재택근무의 긍정적 효과로는 감염병 위기 대처 능력 강화(71.8%), 근로자 직무만족도 증가(58.5%), 업무 효율성 증가(23.1%) 순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 시행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의사소통 곤란이(62.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뒤로 재택근무 곤란 직무와의 형평성 문제(44.1%), 성과관리·평가의 어려움(40.0%)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전사적으로나 일부 근로자에 한해 계속 시행한다는 응답은 51.8%로 높게 나타났다. 재택근무가 상시적 근무방식으로 정착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재택근무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인프라 구축 등 비용지원(42.5%), 사회적 분위기 확산(38.8%), 노동법 가이드라인 마련(35.5%) 순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재택근무 활용 인센티브(34.3%), 인사노무 컨설팅 지원(19.5%) 및 선도기업 우수사례 발굴·전파(14.0%)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나왔다.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택근무 활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34.1%가 '있다'고 답했고, 65.9%가 '없다'고 답해 재택근무를 활용한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재택근무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근로자의 주당 활용 횟수는 1일이 21.1%, 2일 16.1%, 3일 14.0%, 5일 이상 15.1%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재택근무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근로자들 60.5%가 '대체로 만족'했고, 30.8%는 '매우 만족'한다고 답해 전체 활용 근로자의 91.3%가 재택근무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로 업무효율이 높아졌다는 응답이 73.9%로 나타나 의사소통 곤란 등의 부작용 보다는 출퇴근 시간 경감, 업무집중도 향상 등 긍정적 효과가 큰 것으로 보인다.
재택근무의 긍적적 효과에 대해서는 출퇴근 스트레스 해소(86.0%)가 앞도적으로 높았고, 여가시간 확보로 삶의 질 향상(36.5%), 일·가정 양립 기여(27.8%), 업무집중도 향상(27.8%)이 뒤를 이었다.
재택근무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노동법 가이드라인 마련이 48.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인프라 구축 등 비용 지원 44.2%, 사회적 분위기 확산 41.3% 순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복수응답) [자료=고용노동부] 2020.09.24 jsh@newspim.com |
jsh@newspim.com
고용부, 추석 연휴기간 전후 '노사 합동안전점검' 실시
고용부, 주52시간 준수한 우수 중소기업에 장려금 지급한다
[4차 추경] 고용부, 특고·프리랜서 고용안정지원금 지원 예산 1.5조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