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ATM기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6년간 은행권이 희망퇴직자에 지급한 퇴직금이 9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일각에서는 은행권이 희망퇴직금 지급방안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10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 받은 ‘국내 은행권 희망퇴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2023년 7월까지 은행권에서 집계된 희망퇴직자는 총 1만7402명에 달했다.
은행권은 이들 희망퇴직자에 9조6047억원의 퇴직금을 지급했다.
은행별로 보면, 최근 6년간 희망퇴직자가 가장 많은 은행은 국민은행(3671명)이었으며, 이어 하나은행(2464명), 농협은행(2349명) 순이었다. 1인당 희망퇴직금이 가장 많은 은행은 씨티은행(평균 8억2600만원)이었다.
일반 퇴직과 달리 법정퇴직금 이외 특별퇴직금(2~3년치 평균 연봉에 전직 지원금 등)까지 챙길 수 있는 희망퇴직은, 최근 유리한 조건으로 은행원들 사이에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연도별 은행권 내 희망퇴직자는 지난 2018년 2573명(1조1314억원), 2019년 2651명(1조4045억원), 2020년 2473명(1조2743억원), 2021년 3511명(1조9407억원), 지난해 4312명(2조8283억원)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은행에서 지불하는 희망퇴직금 수준이 과도하다며, 방만 경영을 예방하기 위해 운영방안을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지난 6년간 은행권 희망퇴직자가 받은 1인당 평균 퇴직금은 평균 5억5200만원으로, 같은 기간 전체 퇴직자 평균 퇴직금(3억5600만원)의 154.9%에 달했다.
이에 강민국 의원은 “지난한 코로나 시기를 겪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은 계속된 천문학적 수준의 은행권 횡령과 배임 등의 금융사고로 인해 은행산업 전반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하고 있다. 공공재 성격을 가진 은행은 희망퇴직금 지급에 대해 숙고해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은 은행산업에 대한 국민 신뢰 제고 차원에서라도 희망퇴직금을 자율경영사항이라 외면치 말고 전체 퇴직금 규모를 과도하게 넘는 수준의 희망퇴직금 지급 은행에 대해서는 운영 현황에 대한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며 “은행권은 역대급 실적에 따른 돈 잔치로 보이지 않게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수준에서의 희망퇴직금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