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한경DB/임대철 한경디지털랩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민간소비가 늘어나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설비투자가 증가하면서 3분기 국내 경제가 0.3% 성장했다. 다만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
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3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잠정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0.3% 성장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3.1% 성장했다. 이는 10월 공개된 속보치와 같은 수준이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 역성장한 뒤, 3분기(2.3%), 4분기(1.2%)에는 1~2%대 성장률을 나타냈다. 이후 2021년 1분기(1.7%), 2분기(0.8%), 3분기(0.2%), 4분기(1.3%), 올해 1분기(0.6%), 2분기(0.7%)에 이어 3분기까지 9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전분기 대비 1.7% 증가했다. 오락·취미용품 등 준내구재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가 성장세를 이끌었다. 설비투자의 경우 반도체 장비 등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늘면서 7.9% 성장했다. 3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 및 설비투자 기여도는 각각 0.8%포인트, 0.7%포인트에 달하며 성장률 증가를 이끌었다. 전체 내수의 기여도는 2%에 달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 소비도 물건비 지출 위주로 0.1% 증가했다. 다만 건설투자는 토목건설 부진에 0.2%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는 감소했지만 운송장비·서비스 수출 호조로 1.1% 증가하며 2분기 역성장 추세에서 벗어났다. 원유·천연가스 중심의 수입 증가율(6.0%)은 수출의 약 6배에 달했다. 순수출은 성장률을 1.8%포인트나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무역수지 적자 상황이 경제 성장에 타격을 날린 셈이다. 업종별로는 농림어업, 건설업, 서비스업이 각 3.9%, 1.3%, 0.8% 늘었다.
3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2분기보다 0.1% 줄었다. 실질 GNI는 0.7% 감소했다. 한은은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4조4000억원에서 7조3000억원으로 늘었지만,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 무역 손익(-28조원→-35조7000억원)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실질 GDP 성장률(0.3%)을 밑돌았다고 봤다. 총저축률(32.7%)은 2분기보다 1.5%포인트 떨어졌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0.0%)이 최종소비지출 증가율(2.2%)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노란봉투법, 불법파업 부추겨…매년 일자리 2만개 사라진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세 가지 방법[김광진의 경영 전략]
10월 생산 1.5%↓…30개월 만에 최대폭 감소
채권에 꽂힌 개미…삼성증권 "올해 온라인으로 2조원 매수"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