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월15일 (로이터) - 삶의 질을 지표화한 국민 삶 종합지수가 처음으로 도입됐다. 예상대로 삶의 질 개선 속도는 경제 성장 속도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은 15일 '국민 삶의 질 종합지수'를 작성한 결과 지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1인당 실질 GDP는 34.6% 증가한 반면 국민 삶의 질 종합지수는 11.8% 증가에 그쳤다고 밝혔다. 삶의 질 종합지수 증가율이 실질 GDP 증가율의 34.1% 수준에 불과했다.
통계청은 "이 결과는 GDP의 증가가 곧바로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선진국의 결과와도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국민 삶의 질 종합지수는 교육과 안전, 소득ㆍ소비, 사회복지, 가족ㆍ공동체, 고용ㆍ임금, 주거, 건강, 주관적 웰빙(well-being), 문화ㆍ여가, 환경, 시민참여 등 12개 영역의 80개 지표를 활용해 작성된다.
기준년인 2006년의 지수를 100으로 하고 해당연도의 비율을 단순평균해 영역별 종합지수를 만들고, 이를 다시 단순평균해 삶의 질 종합지수를 작성한다.
영역별로는 교육이 23.9% 증가했고, 안전이 22.2%, 소득ㆍ소비는 16.5%, 사회복지는 16.3% 각각 증가하면서 종합지수 개선에 기여했다.
반면에 가족ㆍ공동체지수는 1.4% 감소했다. 고용ㆍ임금은 3.2%의 낮은 증가율에 그쳤고, 주거는 5.2%, 건강은 7.2% 증가하면서 전체 종합지수 보다 낮은 수준의 개선을 나타냈다.
일부 영역에서는 국민들의 체감과 다른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교육 영역에서는 사교육비 부담과 청년실업 증가 등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지만 지수는 23.9%나 개선됐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고등교육 이수율과 유치원 취원율이 개선되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개선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하고 대졸 취업률도 지표상 악화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안전 영역에서도 체감도와 지수가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세월호 사고 등의 여파로 사회안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면서 주관적 인식인 사회안전 평가는 2013년 11.4%에서 2014년에는 9.2%로 하락했다.
하지만 안전 지수는 22.2% 개선됐다. 도로사망률과 아동안전사고사망률, 산업재해율 등 객관적 지표의 개선 추세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고용ㆍ임금이나 주거는 체감과 비슷한 수준의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통계청은 근로소득의 증가와 근로시간 축소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만족도가 2009년 26.6%에서 2015년 25.2%로 하락했고, 주거 영역에서도 월세 증가와 주거비 상승 등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커져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고 밝혔다.
건강 지수는 기대여명이 개선됐으나, 건강수명과 스트레스 지표가 악화됐고 당뇨와 고혈압 유병률도 높아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개선세를 보였다.
(이신형 기자; 편집 전종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