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수 NFT뱅크 대표는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에서 열린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2’에서 “NFT는 중요한 금융 상품으로 자리 잡았으며 앞으로 단순한 거래에 그치지 않고 자본 시장과 긴밀하게 연결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NFT 자산관리 플랫폼인 NFT뱅크는 최근 NFT 가치평가 모델 개발에 힘쓰고 있다. NFT 금융 상품이 발전함에 따라 NFT 가치평가와 회계시스템의 중요성이 자연스레 커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김 대표는 “NFT는 매우 유동적이고, 판매 데이터가 충분히 쌓이지 않았기 때문에 제대로 가치를 평가하기 어렵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평가 모델, 수요 모델, 인공지능 등 다양한 가치평가 모델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NFT의 가치평가가 어려운 또 다른 요인은 자전 거래다. 의도적으로 가치를 부풀리는 사례도 많다는 게 NFT뱅크의 분석이다. 그럼에도 NFT 금융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김 대표는 “최근 NFT랜딩의 대출액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채권시장이 NFT 대출 위에서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NFT뱅크가 관리하고 있는 포트폴리오 유형도 다양해졌다. 김 대표는 “기존 소매 위주의 개인투자자들이 대부분이었다면, 현재는 엑시인피니티 등과 협업하면서 기관투자가들의 포트폴리오까지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NFT랜딩은 사람간 거래인 P2P(Peer to Peer) 방식이 주로 활용되는데 대주와 차주가 직접 대출 조건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NFT를 곧바로 유동화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김 대표는 P2Pool 방식을 도입했다. 그는 “풀(집단)을 이용하면 대출을 원하는 즉시 유동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NFT 뱅크는 와이지지, 길드파이, 메리서클 등 P2E(Play to Earn) 길드와도 협력하고 있다. P2E 길드는 P2E 게임을 플레이하는 데 필요한 NFT를 개인 플레이어들에게 대여해주고 수익을 얻는 조직이다. 김 대표는 “온체인 데이터를 비롯해 재무제표, 가치평가 모델을 통해 길드의 수익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P2E 길드 등에서 중소형 길드 인수·합병을 위한 자문 요청이 들어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NFT 가치 평가 모델이 개별 NFT뿐만 아니라 NFT 기업의 가치를 가늠하는 데도 주효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