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석유화학 시장은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에틸렌 수요가 제자리걸음을 할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물량을 소화할 중국 경기가 크게 개선되지 않으면 글로벌 공급 과잉 사태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이미지 크게보기 산업은행은 최근 발간한 ‘2023년 산업전망’에서 올해 국내 석유화학제품 생산량을 지난해보다 소폭 증가한 2348만t으로 전망했다. 이 중 수출 물량은 1309만t으로 작년보다 0.8% 늘어난다고 봤다. 생산설비 가동률도 작년(85%)과 비슷한 84.9%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석유화학의 주요 제품인 에틸렌 수요가 더디게 증가할 것이라는 게 예상의 근거다.
석유화학제품 마진은 소폭 개선될 것이란 분석이 많다. 유가가 안정을 찾고 있어서다. 지난해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석유화학제품의 원재료인 국제 유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석유화학제품의 마진이 줄었다. 올해엔 경기 침체 우려로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이 지난해 배럴당 평균 95.6달러에서 88.6달러로 낮아지는 등 국제 유가가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화학제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공급 과잉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이 제품 생산 능력을 지속해서 늘린 탓이다. 지난해 중국의 에틸렌 생산능력은 2010년보다 50.7% 증가했다. 프로필렌과 파라자일렌 생산능력 역시 각각 58.3%와 102.8% 늘었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 생산능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5%(에틸렌)~41.8%(프라자일렌) 선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업체인 우드맥켄지는 공급 과잉을 기정사실로 보고 있다. 우드맥켄지는 “2030년이면 에틸렌이 지난해 대비 23.6% 더 많이 생산되고 프로필렌은 28.4%, 프라자일렌은 19.2% 생산 증가가 예상된다”며 “대부분 공급 확대는 중국 등 아시아와 중동지역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정유,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정제마진 당분간 강세
조선, 고금리·발주 감소…전년비 수주액 40% 이상 줄듯
항공, 길었던 '코로나 터널' 탈출…해운은 반등 쉽지 않아